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444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췌장은 내분비 기관과 외분비 기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기이며, 내분비 기능은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 에서 수행된다. 랑게르한스섬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특정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당 조절과 소화계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1. 랑게르한스섬의 구성과 호르몬 분비 세포랑게르한스섬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세포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한다.세포 유형               분비 호르몬                                      기능 α (알파) 세포글루카곤(Glucagon)혈당 상승β (베타) 세포인슐린(Insulin)혈당 감소δ (델타) 세포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인슐린 및..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췌장(Pancreas)

췌장(Pancreas) 상세 해부 및 생리학췌장은 소화계와 내분비계를 동시에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로, 복부의 후복막강(retroperitoneal)에 위치한다. 이는 외분비 기능과 내분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소화 효소 및 혈당 조절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1. 해부학적 구조(1) 위치 및 형태췌장은 위(stomach) 뒤쪽, 십이지장(duodenum)과 비장(spleen)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는 약 15~20cm, 무게는 70~100g 정도이다.'J'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크게 두부(head), 경부(neck), 체부(body), 미부(tail) 로 구분된다.(2) 각 부분의 특징두부(Head)십이지장의 C자형 곡선 내에 위치하며, 가장 두꺼운 부분이다.뒤쪽에는 총담관(common b..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부신 속질(Adrenal Medulla) 호르몬

부신 속질(Adrenal Medulla) 호르몬 상세 설명부신 속질(Adrenal Medulla)은 부신(Adrenal Gland)의 내부층으로, 교감신경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경 내분비 조직입니다.이곳에서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스트레스 반응("Fight or Flight")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1. 부신 속질의 구조 및 기능항목                     내용 위치부신의 내부층(부신 겉질 아래)기능교감신경 자극 시 카테콜아민 분비분비 호르몬에피네프린(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조절 기전교감신경계(SNS)에 의해 직접 조절특징신경세포에서 직접 분비되는 호르몬 → 신경전달물질과 ..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부신 겉질(Adrenal Cortex) 호르몬

부신 겉질(Adrenal Cortex) 호르몬 상세 설명부신 겉질(Adrenal Cortex)은 부신(Adrenal Gland)의 외부층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조직입니다.부신 겉질은 3개의 층으로 나뉘며, 각각 미네랄코르티코이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안드로겐을 분비합니다.1. 부신 겉질의 구조와 호르몬 분비부신 겉질 층                        주요 호르몬                                      기능 사구대(Zone Glomerulosa)알도스테론(Aldosterone)나트륨·칼륨 조절, 혈압 유지속상대(Zone Fasciculata)코르티솔(Cortisol)스트레스 대응, 대사 조절망상대(Zone Reticularis)안드로겐(Androge..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부신(Adrenal Gland)

부신(Adrenal Gland) 상세 설명부신(Adrenal Gland)은 신장의 상부에 위치한 작은 내분비샘으로, 호르몬 분비를 통해 스트레스 반응, 신진대사, 전해질 균형 및 면역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부신은 크게 겉질(Adrenal Cortex)과 속질(Adrenal Medulla)로 나뉘며, 각각 다른 호르몬을 분비합니다.1. 부신의 해부학적 구조1-1. 위치 및 형태신장의 상단에 모자 형태로 위치크기: 약 4~6cm 길이, 2~3cm 너비, 1cm 두께무게: 각각 약 4~5g좌우 부신의 모양 차이:우측 부신: 피라미드 모양좌측 부신: 반달 모양1-2. 구조부신은 겉질(Adrenal Cortex, 80~90%) 과 속질(Adrenal Medulla, 10~20%)로 나뉨.부신 겉질 (Adr..

카테고리 없음 2025.03.26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상세 설명1. PTH 개요부갑상선 호르몬(PTH, Parathyroid Hormone)은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에서 분비되는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체내 칼슘(Ca²⁺) 및 인(P)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PTH는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고, 인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주요 표적 기관은 뼈, 신장, 소장입니다.2. PTH의 합성과 분비 조절2-1. PTH 합성 과정전구 단백질(PreproPTH, 115개 아미노산) 합성부갑상선의 주세포(chief cell)에서 합성됨.프로호르몬(ProPTH, 90개 아미노산)로 변환소포체에서 N-말단 서열이 제거됨.활성형 PTH(84개 아미노산) 생성골지체에서 최..

카테고리 없음 2025.03.26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개요부갑상선은 갑상선 뒤쪽에 위치한 작은 내분비샘으로, 칼슘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성인의 경우 보통 4개(상하 2쌍)로 존재하지만, 개인에 따라 5~6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1. 부갑상선의 해부학적 구조위치: 갑상선의 좌우 후면에 위치하며,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음개수: 보통 4개 (상부 2개, 하부 2개)크기: 약 3~5mm무게: 총 120~150mg 정도혈액 공급:주로 하부 갑상선 동맥(inferior thyroid artery)에서 혈액을 공급받음일부는 상부 갑상선 동맥(superior thyroid artery)에서 공급받기도 함2. 부갑상선의 기능 및 호르몬 분비부갑상선은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갑상선 호르몬(Thyroid Hormones)

갑상선 호르몬(Thyroid Hormones) 상세 설명갑상선 호르몬은 트리요오드티로닌(T3, triiodothyronine)과 티록신(T4, thyroxine)**이 있으며, 이들은 체내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칼시토닌(calcitonin)이라는 호르몬도 갑상선에서 분비되며, 칼슘 대사에 관여합니다.1. 갑상선 호르몬의 종류(1) T3(트리요오드티로닌, Triiodothyronine)구조: 요오드(Iodine) 3개를 포함생리적 활성: 매우 높음 (T4보다 약 3~4배 활성도가 높음)혈중 농도: T4보다 낮음 (T4: T3 비율이 약 20:1)기능:대사 촉진 → 산소 소비량 증가심혈관계 활성화 → 심박수 증가, 심근 수축력 증가중추신경계 발달 촉진 (특히 태아 및 영유아에서 중요)..

카테고리 없음 2025.03.22

갑상선(Thyroid Gland)

갑상선(Thyroid Gland) 개요갑상선은 내분비계의 중요한 기관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목의 앞쪽, 기관(trachea) 앞에 나비 모양으로 위치하며, 좌엽(left lobe)과 우엽(right lobe), 그리고 두 엽을 연결하는 협부(isthmu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해부학적 구조(1) 위치와 형태갑상선은 제2~4 기관 연골(tracheal rings) 부위에 위치좌엽과 우엽으로 나뉘며, 협부가 이를 연결일부 사람에서는 피라미드엽(pyramidal lobe)이 존재할 수 있음(2) 혈액 공급상갑상선동맥(Superior thyroid artery):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에서 분지하갑상선동맥(Inferior thyroid artery):..

카테고리 없음 2025.03.22

깨어진 항상성을 정상화하는 방법

깨어진 항상성을 정상화하는 방법항상성이 깨지면 생리적·심리적 불균형이 발생하여 질병이나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정상화하려면 신체의 자가 조절 기전을 활성화하고, 외부적인 도움(약물, 치료 등)을 통해 균형을 회복해야 합니다.1. 생리적 항상성 정상화 방법(1) 체온 항상성 회복고체온증(체온 ≥ 38.5°C) 정상화수분 보충 → 탈수를 방지하여 발한 기능 유지냉각(Cold Therapy) → 미온수 샤워, 냉찜질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투여저체온증(체온 ≤ 35°C) 정상화보온 유지 → 담요, 온수 팩 사용따뜻한 음료 섭취 → 내부에서 체온 유지중증 시 의료 처치(온열 요법, 체온 상승 약물 사용)(2) 혈당 항상성 회복고혈당(당뇨병) 정상화인슐린 주사 → 세포 내 포도당 흡수 ..

카테고리 없음 2025.03.1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