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4 16

삼첨판 협착증(Tricuspid Stenosis, TS)

1. 삼첨판 협착증의 정의삼첨판 협착증은 우심방(right atrium)과 우심실(right ventricle) 사이에 위치한 삼첨판(tricuspid valve)의 개구 면적이 좁아지면서 우심방에서 우심실로의 혈류가 제한되는 상태를 말합니다.정상 삼첨판의 개구 면적은 약 7–9 cm²이며, 로 줄어들면 병적 협착으로 간주합니다.2. 원인(Etiology)1) 류마티스열 후유증 (Rheumatic fever) – 가장 흔함90% 이상이 류마티스성 승모판질환을 동반삼첨판 자체의 섬유화 및 첨판 간 융합이 발생2) 선천성 협착드물지만 삼첨판 기형(예: 엡스타인 기형)에서 발생 가능3) 심내막염의 후유증감염 후 염증 및 섬유화로 인해 협착 유발4)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세로토닌 분비 → 판막 섬유화5) 방사선 치..

카테고리 없음 2025.04.11

대동맥판 폐쇄부전증(Aortic Regurgitation, AR)

대동맥판 폐쇄부전증(Aortic Regurgitation, AR)에 대해 해부학,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예후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정의대동맥판 폐쇄부전증(Aortic Regurgitation, AR)은이완기(diastole)에 대동맥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대동맥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좌심실은 수축기뿐 아니라 이완기에도 추가적인 혈액 부하(volume overload)를 받게 되어 점차적으로 확장 및 기능 저하가 발생합니다.2. 병태생리 (Pathophysiology)1) 발생 원인원인 구분                         대표 질환/기전 판막 자체 이상류마티스성 판막병, 감염성 심내막염, 선천성 이첨판(bicuspid AV), 석회화, 외상대..

카테고리 없음 2025.04.09

대동맥판 협착증(Aortic Stenosis, AS)

대동맥판 협착증(aortic stenosis, AS)에 대해 해부학,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예후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정의대동맥판 협착증(Aortic Stenosis)은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나가는 출구인 대동맥판이 좁아져 혈류가 제한되는 질환입니다.정상 대동맥판 면적: 3~4 cm²협착 시 유의미한 증상은 대개 1.0 cm² 이하부터 나타남2. 병태생리 (Pathophysiology)1) 협착의 기전형태                                      설명 선천성 (Congenital)가장 흔한 형태는 bicuspid aortic valve (BAV, 2첨판)로, 선천적으로 판막 첨이 2개 → 나중에 석회화되며 협착 유발퇴행성 (Degenerative..

카테고리 없음 2025.04.09

승모판 일탈증 (Mitral Valve Prolapse, MVP)

승모판 일탈증(Mitral Valve Prolapse, MVP) 에 대해 해부학, 병태생리, 진단, 영상소견, 증상, 치료, 예후 등 의학적으로 심도 있게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1. 해부학적 개요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이첨판(bicuspid valve) 입니다.전엽(anterior leaflet)과 후엽(posterior leaflet)으로 구성되며, 건삭(chordae tendineae) 과 유두근(papillary muscles) 이 판막을 지지합니다.심실 수축기 동안 판막이 닫혀 좌심방으로의 역류를 방지합니다.승모판 일탈증이란, 수축기 동안 한쪽 또는 양쪽 판막 첨판이 과도하게 좌심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말하며, 이로 인해 승모판 폐쇄 부전 및 역류(mitral regurgita..

카테고리 없음 2025.04.08

승모판 폐쇄부전증(Mitral Regurgitation, MR)

승모판 폐쇄부전증(Mitral Regurgitation, MR)은 매우 중요한 심장 질환 중 하나이며, 특히 영상진단 및 심초음파에서 자주 접하는 질환입니다. 아래에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드릴게요.정의승모판 폐쇄부전증(Mitral Regurgitation, MR)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승모판(mitral valve)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좌심실 수축기 동안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병태생리 (Pathophysiology)정상적으로는 좌심실 수축기 동안 승모판이 완전히 닫혀서 혈액이 대동맥으로만 나가야 합니다.하지만 승모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으면, 일부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게 되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깁니다:좌심방 용적 과부하 ..

카테고리 없음 2025.04.06

승모판 협착증 (Mitral Stenosis)

승모판 협착증(mitral stenosis)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승모판(mitral valve)이 좁아져서,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되는 심장 판막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좌심방 내 압력이 상승하고, 심방과 폐혈관계에 여러 병태생리가 연쇄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1. 해부학적 구조와 정상 기능승모판의 구조:두 개의 판막엽(anterior, posterior leaflets)건삭(chordae tendineae)유두근(papillary muscles)섬유륜(annulus)정상 기능:이완기 동안 승모판이 열리며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흐름수축기에는 판막이 닫혀 역류를 방지2. 병태생리(Pathophysiology)승모판이 좁아지면 좌심방→좌심실 혈류 장애 발생좌심방 ..

카테고리 없음 2025.04.05

판막 질환(Valvular Heart Disease, VHD)

판막 질환(Valvular Heart Disease, VHD) 상세 정리1. 개요판막 질환은 심장의 4개 판막(승모판, 대동맥판, 삼첨판, 폐동맥판) 중 하나 이상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판막이 충분히 열리지 않으면 협착(Stenosis)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폐쇄부전(역류, Regurgitation, Insufficiency)으로 구분됩니다.이러한 판막 이상은 심장 부담을 증가시키며, 심부전, 부정맥, 혈전 색전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 판막 질환의 원인(1) 선천성 원인이엽성 대동맥판(Bicuspid aortic valve): 대동맥판이 정상적으로 3엽(tricuspid)이 아닌 2엽(bicuspid)으로 형성됨 → 조기 석회화 및 협착 발생선천성 판막 기형:..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류마티스성 열(Rheumatic Fever, RF)

류마티스성 열(Rheumatic Fever, RF)1. 개요류마티스성 열(Rheumatic Fever, RF)은 A군 연쇄상구균(β-용혈성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pyogenes) 감염 후 면역학적 반응으로 발생하는 전신 염증성 질환입니다. 주로 5~15세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발생하며, 치료되지 않은 인후염(연쇄상구균 감염 후두염, streptococcal pharyngitis) 후 2~4주 내에 발병합니다.류마티스성 열은 심장, 관절, 중추신경계, 피부, 피하조직 등에 염증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심장 판막 질환(류마티스성 심장병, rheumatic heart disease, RHD)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2. 원인과 병태생리(1) 원인류마티스성 열은 A군 연쇄상구균 감염 후 면역 반응..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선천성 심장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CHD)

선천성 심장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CHD) 개요선천성 심장질환은 태아가 자궁 내에서 심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여 출생 시부터 존재하는 심장 기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형은 혈류 장애를 초래하여 저산소증, 심부전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 발생 원인선천성 심장질환의 원인은 다양하며,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유전적 요인가족력: 부모나 형제가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발생 위험 증가특정 유전자 이상: 예) 다운증후군(Trisomy 21), 터너증후군(45, X0), 디조지 증후군(22q11.2 deletion syndrome)환경적 요인태아기 감염: 풍진(Rubella) 감염 등이 심장 기형 발생 위험 증가약물 및 ..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심장이식 (Heart Transplantation)

심장이식 (Heart Transplantation)1. 심장이식이란?심장이식(Heart Transplantation)은 말기 심부전(End-Stage Heart Failure) 환자에게 건강한 기증자의 심장을 이식하는 외과적 수술입니다.기존의 약물 치료, 기기 치료(ICD, LVAD 등)로도 심부전이 조절되지 않을 때 최후의 치료법으로 시행됨.성공적인 이식 후 평균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환자는 20년 이상 생존하기도 함.2. 심장이식의 적응증(대상 환자)심장이식은 말기 심부전 환자 중에서도 다른 치료법이 효과가 없을 때 고려됩니다.(1) 주요 적응증말기 심부전 (End-Stage Heart Failure)좌심실 구출률(EF) ≤ 20~25%지속적인 NYHA(New York Heart Assoc..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