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469

모균병(Mucormycosis)

모균병(Mucormycosis)모균병은 모균류(Mucorales) 속에 속하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진균감염증입니다. 일반적으로 리조푸스(Rhizopus), 무코르(Mucor), 라크토미세스(Lichtheimia) 등의 균종이 원인입니다. 이 곰팡이는 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며, 주로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심각한 질병을 일으킵니다. "블랙 곰팡이 병"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치사율이 높아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1. 원인균: 모균류(Mucorales)환경에서의 분포:토양, 부패한 유기물, 동물 배설물, 부패한 음식, 공기 중에 널리 존재.감염 경로:흡입: 곰팡이 포자를 흡입하여 폐나 부비동 감염.피부 상처: 외상, 화상 등을 통해 곰팡이가 침투.섭취: 오염된 음식을 통해 위장관 감염...

카테고리 없음 2024.12.03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아스페르길루스증은 Aspergillus 속에 속하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진균감염증입니다. Aspergillus fumigatus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지만, A. flavus, A. niger, A. terreus와 같은 종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주로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폐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며, 감염의 형태는 환자의 건강 상태와 면역 기능에 따라 다양합니다.1. 원인균: Aspergillus환경에서의 분포:Aspergillus는 자연적으로 토양, 부패한 유기물, 건축자재, 공기 중에 존재.포자가 매우 작아 흡입을 통해 쉽게 체내로 유입될 수 있음.감염 경로:대부분 흡입에 의해 폐로 들어감.드물게 피부 상처나 수술 부위를 통해 ..

카테고리 없음 2024.12.03

진균감염증(Fungal Infection)

진균감염증(Fungal Infection)진균감염증은 곰팡이(fungi) 또는 효모(yeast)와 같은 진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진균은 자연에서 흔히 발견되는 미생물로, 토양, 물, 식물, 동물, 인간 피부 등에 존재하며 일부는 병원성(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균감염증은 감염 부위에 따라 표재성, 피하성, 또는 전신성 감염으로 분류됩니다.1. 진균의 생물학적 특징진핵생물: 진균은 진핵세포로, 세포 핵과 세포 소기관이 존재합니다.세포벽: 키틴과 글루칸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세포벽 구조를 가집니다.번식:유성생식: 포자 형성을 통해 번식.무성생식: 균사체 분열이나 무성 포자에 의한 증식.환경 적응성: 높은 습도와 온도에서 잘 번식하며, 산성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합니다.2. 진..

카테고리 없음 2024.12.02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Leptospira) 속에 속하는 나선형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습니다. 쥐와 같은 설치류를 비롯한 동물이 병원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간은 병원성 세균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1. 원인 병원체렙토스피라 속의 세균에 의해 유발되며, 병원성 렙토스피라(병원성 군)와 비병원성 렙토스피라(환경 서식 군)로 나뉩니다.대표적인 병원성 종:Leptospira interrogansLeptospira borgpetersenii자연 숙주: 쥐, 개, 소, 돼지, 야생동물.2. 전파 경로(1) 동물로부터 전파병원체를 보유한 동물의 소변, 오염된 물 또는 흙을 통..

카테고리 없음 2024.12.02

혐기성 세균 (Anaerobic Bacteria)

혐기성 세균 (Anaerobic Bacteria)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하며, 산소가 존재하면 생장이 억제되거나 사멸하는 세균입니다. 이들은 주로 토양, 물, 소화관, 폐기물, 상처 부위 등 산소 농도가 낮거나 없는 환경에서 발견됩니다.1. 기본 특성산소 민감성: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독성이 될 수 있는 대사 체계를 가짐.산소가 없거나 극히 적은 환경에서 생장과 대사가 활발함.에너지 대사:발효 또는 무산소 호흡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발효를 통해 생성된 산물(예: 젖산, 부티르산, 메탄 등)이 독특한 냄새와 특징을 나타냄.다양성:완전 혐기성: 산소에 완전히 민감하며 산소가 존재하면 생존 불가능.조건부 혐기성: 산소가 없을 때만 최적의 성장을 하며, 일부는 낮은 농도의 산소에서 제한적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4.12.01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캄필로박터(Campylobacter)캄필로박터는 소화기계 감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성 병원체로, 전 세계적으로 식중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닭고기, 우유, 오염된 물과 같은 식품이나 환경에서 감염이 이루어지며, 경미한 장염에서부터 심각한 합병증까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1. 캄필로박터의 일반적 특성분류:속명: Campylobacter주요 종: Campylobacter jejuni와 Campylobacter coli가 대부분의 인간 감염을 일으킴.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그람음성, 나선형 또는 구부러진 막대 모양의 세균.크기: 길이 약 0.5~5 μm.미세산소 조건(microaerophilic)에서 잘 자라며, 산소 농도가 낮은 환경(5~10% O2)에서 생존 가능.운동성: 편모(flagella..

카테고리 없음 2024.11.30

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s)

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s)감염성 질환은 병원체(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프리온 등)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 인체 내에서 병원체가 증식하거나 독소를 방출해 건강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들 질환은 사람, 동물, 물, 공기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1. 감염성 질환의 특징원인 병원체:감염성 질환의 주된 원인은 병원체입니다. 병원체는 크기와 특성이 다양하며, 각기 다른 감염 경로와 증상을 보입니다.전염 가능성:대다수의 감염성 질환은 전염성을 가지며, 숙주에서 숙주로 병원체가 이동합니다.면역 반응 유발:병원체는 숙주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며, 이로 인해 염증,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2. 주요 원인 병원체와 감염성 질환1) 바이러스 (Viruses):특징: 세포..

카테고리 없음 2024.11.30

예르시니아증(Yersiniosis)

예르시니아증(Yersiniosis)예르시니아증은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와 예르시니아 슈도튜베르쿨로시스(Yersinia pseudotuberculos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주로 소화기계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 경로는 오염된 음식물, 물, 또는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입니다.1. 원인 병원체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냉장 온도(4°C)에서도 생존 가능.주로 돼지고기, 비살균 우유, 오염된 물을 통해 전파됩니다.예르시니아 슈도튜베르쿨로시스:식물성 식품(채소, 과일)과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으로 전파.사람에게서 드물게 나타나지만 심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2. 전파 경로음식물:덜 익힌 돼지고기, 특히 돼지 내장(..

카테고리 없음 2024.11.29

감염 (Infection)

감염 (Infection)감염은 병원체(미생물, 바이러스, 기생충 등)가 신체에 침입해 증식하거나 독소를 방출하여 조직이나 체계에 손상을 유발하는 생리학적 현상입니다. 감염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경미한 증상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까지 발전할 수 있습니다.1. 감염의 과정감염은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를 거쳐 발생합니다:침입: 병원체가 외부로부터 신체 내부로 들어옴.감염 경로: 피부 상처, 점막,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혈액 등.증식: 병원체가 숙주의 환경에서 생존하며 세포나 조직에서 증식.면역 반응 유발: 신체의 면역체계가 병원체를 탐지하고 제거하려고 반응.전파: 병원체가 숙주 내에서 확산하거나 다른 숙주로 전염.2. 감염의 원인 병원체감염은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세균..

카테고리 없음 2024.11.29

앵무새병 (Psittacosis)

앵무새병 (Psittacosis)앵무새병은 클라미디아 시타시(Chlamydia psittaci)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조류로부터 사람에게 전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이 병은 앵무새뿐 아니라 다른 새와의 접촉으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인간에게는 주로 폐렴 형태로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1. 원인병원체: 클라미디아 시타시(Chlamydia psittaci)세포 내 기생성 세균으로 조류의 배설물, 깃털, 분비물에 존재.공기를 통해 흡입되거나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때 전염.2. 전파 경로흡입 감염: 감염된 새의 배설물이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들이마실 때.접촉 감염: 감염된 새의 깃털, 분비물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매개체: 감염된 새를 돌보는 사람(조류 사육사, 수의사, 애완동..

카테고리 없음 2024.11.2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