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2/10 3

관상순환(Coronary Circulation)

관상순환(Coronary Circulation) 관상순환은 심장 근육(심근, myocardium)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액순환입니다.심장은 지속적인 펌프 작용을 수행해야 하므로 자신도 혈액을 충분히 공급받아야 하며, 혈류 조절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집니다.1. 관상순환의 해부학적 구조관상동맥(coronary artery)은 대동맥(Aorta)에서 분지되어 심근에 혈류를 공급하며, 관상정맥(coronary veins)은 심장에서 혈액을 받아 심방으로 되돌립니다.(1) 관상동맥(Coronary Arteries)대동맥에서 시작하여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입니다.관상동맥은 좌측 관상동맥(LCA, Left Coronary Artery)과 우측 관상동맥(RCA, Right Coronary Artery)으..

카테고리 없음 2025.02.10

혈관운동 조절(Vasomotor Regulation)

혈관운동 조절(Vasomotor Regulation) 혈관운동 조절(Vasomotor Regulation)은 혈관의 수축(vasoconstriction)과 확장(vasodilation) 을 조절하여 혈류량과 혈압을 조절하는 과정입니다. 혈관운동 조절은 신경계, 호르몬, 국소적인 대사 및 내피세포 신호 등에 의해 조절되며, 이를 통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고 조직에 적절한 혈액 공급을 보장합니다.1. 혈관운동 조절의 주요 기전혈관운동 조절은 크게 신경성 조절, 체액성 조절(호르몬 조절), 국소 조절(자율조절), 내피세포 조절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조절 기전       기능신경성 조절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을 통한 혈관 수축 및 확장체액성 조절호르몬(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바소프레신, ANP 등)에 의한..

카테고리 없음 2025.02.10

혈류역학(Hemodynamics)

혈류역학(Hemodynamics) 혈류역학은 혈액이 심장과 혈관계를 통해 순환하는 물리적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혈압, 혈류량, 혈관저항 등의 다양한 변수를 다룹니다. 혈류는 심장의 펌프 작용, 혈관의 탄성, 혈액의 점도, 압력 차이 등에 의해 조절됩니다.1. 혈류역학의 기본 원리(1) 심장의 펌프 기능과 심박출량 (Cardiac Output, CO)심장은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며, 심박출량(CO)은 혈액이 1분 동안 심장에서 방출되는 양을 의미합니다. CO=HR×SVCO (Cardiac Output, 심박출량): 1분당 방출되는 혈액량 (정상: 4~8 L/min)HR (Heart Rate, 심박수): 1분당 심장 박동 수SV (Stroke Volume, 1회 박출량): 1회 심장 수..

카테고리 없음 2025.02.1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