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1/19 4

심장반사 (Cardiac Reflex)

심장반사 (Cardiac Reflex)심장반사(Cardiac Reflex)는 심장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신경계와 순환계가 상호작용하는 반사 기전을 말합니다. 심장반사는 혈압, 심박수, 심장 수축력 등을 적절히 유지하여 체내 항상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심장반사로는 바로수용체 반사, 베인브리지 반사, 화학수용체 반사, 심장억제 반사, 골츠 반사 등이 있습니다.1. 주요 심장반사 기전(1) 압력수용체 반사 (Baroreceptor Reflex)혈압 변화를 감지하여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반사.작동 원리:위치: 대동맥궁(aortic arch)과 경동맥동(carotid sinus)의 바로수용체에서 혈압 감지.혈압 상승:압력수용체 활성화 → 미주신경(부교감신경) 활성화 →..

카테고리 없음 2025.01.19

심박수 (Heart Rate, HR)의 조절

심박수 (Heart Rate, HR)의 조절심박수(Heart Rate, HR)는 1분 동안 심장이 박동하는 횟수를 의미하며, 신경계, 호르몬, 체온, 대사 상태, 기타 물리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조절됩니다. 심박수는 체내 산소와 에너지 요구량에 따라 변화하며, 안정 상태에서 성인의 정상 심박수는 약 60~100 bpm입니다.1. 심박수의 기본 조절 메커니즘(1)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심박수는 주로 심장의 동방결절(SA Node)에서 시작되는 자율적인 전기적 신호에 의해 결정됩니다.동방결절의 특징:자율성(Automaticity): 외부 자극 없이도 박동 신호를 생성.기저 박동수: 동방결절 자체의 자연적인 발화율은 약 100 bpm.(2) 자율신경계의 역할1) 교감신경(Sym..

카테고리 없음 2025.01.19

1회박출량 (Stroke Volume, SV)의 조절

1회박출량 (Stroke Volume, SV)의 조절1회박출량(Stroke Volume, SV)은 심실이 한 번의 수축으로 방출하는 혈액의 양으로, 심장기능의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SV는 다음 세 가지 주요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 전부하(preload), 후부하(afterload), 심근 수축력(contractility).1. 1회박출량의 계산SV 계산식: SV=EDV−ESVSV = EDV - ESVSV=EDV−ESVEDV (End-Diastolic Volume): 심실이 이완기 말에 수용한 혈액량.ESV (End-Systolic Volume): 심실이 수축기 말에 남아있는 혈액량.2. 1회박출량의 주요 조절 요인(1) 전부하 (Preload)전부하는 심실이 이완기에 받아들인 혈액량에 따라 결정됩..

카테고리 없음 2025.01.19

심장기능의 조절 (Regulation of Cardiac Function)

심장기능의 조절 (Regulation of Cardiac Function)심장은 신체의 요구에 따라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며, 이는 여러 체계적인 조절 메커니즘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됩니다. 심장기능은 내적 조절 메커니즘과 외적 조절 메커니즘을 통해 변화하며, 이 과정은 신경, 호르몬, 물리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집니다.1. 심장의 내적 조절 (Intrinsic Regulation)(1) 자율성(Automaticity)심장은 동방결절(SA node)의 자율적인 전기적 신호 생성으로 수축합니다.동방결절은 심박수의 주 조율자로 작용하며, 심장이 외부 신호 없이도 박동할 수 있게 합니다.(2) 프랑크-스타를링 법칙 (Frank-Starling Law)심근의 초기 신장(이완된 상태에서의 근육 ..

카테고리 없음 2025.01.1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