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갑작스럽고 지속적으로 차단되어 심근의 괴사가 발생하는 응급 심혈관 질환입니다. 주로 관상동맥의 죽상경화반 파열과 혈전 형성이 원인입니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심부전, 부정맥,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개입이 생명을 좌우합니다.
1. 정의
급성 심근경색(AMI)은 다음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합니다:
- 심근 괴사 발생 (necrosis of myocardium)
- 관상동맥의 폐색 또는 심각한 혈류 장애
- 심전도(EKG),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에서의 진단적 변화
2. 병태생리
주요 병태 기전
- 죽상경화반(atheromatous plaque)의 파열
- 노출된 내막 → 혈소판 응집 및 응고 반응
- 급성 혈전(혈관 내 막힘) 형성
- 해당 관상동맥 지배 부위 심근으로의 혈류 차단
- 심근 허혈 → 괴사 발생 (수분~수시간 내)
발생 위치
- 좌전하행지(LAD) 폐색: 전벽 심근경색
- 우관상동맥(RCA) 폐색: 하벽 심근경색
- 좌회선지(LCX) 폐색: 측벽/후벽 심근경색
3. 분류
STEMI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 완전 폐색, ST 분절 상승
- 심근 괴사가 진행 중 → 응급 PCI 필요
NSTEMI (Non-STEMI)
- 부분 폐색, ST 분절 상승 없음
- Troponin 상승 → 심근 손상은 있음
4. 증상
주요 증상 설명
흉통 | 조이는 듯한, 타는 듯한 흉통 (30분 이상 지속) |
방사통 | 왼쪽 어깨, 팔, 턱, 등 쪽으로 방사 가능 |
호흡곤란 | 특히 고령자, 여성에서 두드러짐 |
식은땀, 오심, 구토 | 미주신경 반응 또는 하벽 경색 시 |
실신, 돌연사 | 심실세동, 심정지로 진행 시 |
주의: 고령자, 당뇨병 환자는 전형적 증상 없이 무증상 또는 호흡곤란만 있을 수 있음.
5. 진단
1) 심전도 (ECG)
- STEMI: ST 분절 상승 ≥2 mm (V2~V3), ≥1 mm (다른 leads)
- NSTEMI: ST 하강, T파 역전 등 허혈 소견
- 심실성 부정맥 동반 가능 (VT, VF 등)
2) 심근효소
검사 상승 시기 특징
Troponin I/T | 3~6시간 후 상승, 10~14일 지속 | 민감도/특이도 높음 |
CK-MB | 3~6시간 후 상승, 2~3일 지속 | 재경색 감별에 유용 |
3) 영상검사
- 심초음파 (TTE): 벽운동 이상, 심기능 평가
- 관상동맥조영술(CAG): 병변 위치 확인 및 치료 동시 수행
6. 치료
1) 급성기 응급 치료 (MONA-B)
약제 역할
M - Morphine | 통증 완화, 불안 감소 |
O - Oxygen | 산소포화도 <90% 시 투여 |
N - Nitrate | 혈관 확장 → 전부하 감소 |
A - Aspirin | 혈소판 억제 (300~325 mg loading) |
B - Beta blocker | 심근산소소모 감소 (금기 없을 시 투여) |
2) 혈관재개통 치료
① PCI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 1차 선택
- STEMI 환자에서 90분 이내 시행 목표
- 스텐트 삽입으로 즉시 혈류 회복
② Fibrinolysis (혈전용해제) – PCI 불가 시
- STEMI 환자에서 12시간 이내 가능
- Alteplase, Tenecteplase 등 사용
3) 항혈소판/항응고제
- Aspirin + P2Y12 억제제 (Clopidogrel, Ticagrelor) 병용
- Heparin/Enoxaparin 항응고제 병용
7. 합병증
분류 내용
기계적 합병증 | 심실중격파열, 유두근 파열, 심장파열 |
부정맥 | 심실세동, 심방세동, 완전방실차단 |
심부전 | 좌심실 수축력 감소 |
심장성 쇼크 | 심박출량 급감, 사망률 ↑ |
8. 예후 및 추후 관리
예후
- 조기 치료 → 생존률 향상
- 심근 괴사 범위 넓을수록 예후 나쁨
2차 예방
- Aspirin, Statin, β-blocker, ACEi/ARB 지속 복용
-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적극 관리
- 식이, 운동, 스트레스 조절
핵심 요약
항목 내용
원인 | 죽상경화반 파열 + 혈전 형성 |
증상 | 지속적인 흉통, 방사통, 식은땀 |
진단 | EKG + Troponin + CAG |
치료 | PCI or 혈전용해, 항혈소판제, β-blocker 등 |
합병증 | 부정맥, 심부전, 심장파열 등 |
예후 | 조기 치료 시 생존률 향상, 장기적 관리 필요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