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폐동맥판 질환(pulmonary valve disease)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4. 22. 18:54
728x90
반응형
SMALL

사람의학적 관점에서 폐동맥판 질환(pulmonary valve disease)에 대해 심장 해부학,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후 등 모든 면에서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폐동맥판(Pulmonary Valve)의 해부 및 생리

  • 위치: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
  • 구조: 3개의 반월판(cusps) — anterior, right, left cusp
  • 기능:
    • 우심실 수축 시 열려서 혈액이 폐동맥으로 나가게 함
    • 수축 후 이완기 동안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닫힘

폐동맥판 질환의 주요 유형

1. 폐동맥판 협착(Pulmonary Valve Stenosis, PVS)

정의

  • 폐동맥판이 좁아져서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혈액이 흐르기 어려운 상태

원인

  • 선천성 심질환 (가장 흔함, 특히 소아에서): 판막 형성 이상 (dysplastic), 융합된 판막
  • 류마티스성 질환: 극히 드물게 후천성 원인
  • 심내막염, 종양, 카르시노이드 증후군 등에 의한 2차성 협착도 드물게 발생

병태생리

  • 폐동맥 협착으로 인해 우심실의 afterload 증가우심실 비대(RVH)우심실 기능 부전 → 우심방 압력 증가 → 체정맥 울혈

증상

  • 경증: 대부분 무증상
  • 중등도~중증:
    • 운동 시 호흡곤란, 흉통, 실신
    • 청색증 (특히 심한 경우)
    • 심잡음 (좌측 상흉골연에서 수축기 ejection murmur)

2. 폐동맥판 폐쇄부전(Pulmonary Valve Regurgitation, PVR)

정의

  • 폐동맥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이완기 때 폐동맥의 혈액이 우심실로 역류하는 상태

원인

  • 폐동맥 고혈압 (Pulmonary hypertension): 가장 흔한 원인
  • 감염성 심내막염, 외상, 판막 수술 후 (ex. Fallot 사정술 후)
  • 카르시노이드 심질환
  • 선천성 기형: TOF(심실중격결손, 폐협착, 대동맥 우위, 우심실비대)

병태생리

  • 이완기 혈액 역류 → 우심실의 용적 과부하(volume overload) → 우심실 확장 → 우심부전

증상

  • 경증: 무증상
  • 중증:
    • 우심실 부전 증상: 피로, 부종, 복수, 간비대
    • 이완기 잡음: 좌상흉부에서 들리는 low-pitched diastolic murmur

진단

1. 신체검진

  • PVS: 좌상흉골연 수축기 잡음, ejection click
  • PVR: 이완기 잡음 (Graham Steell murmur — 고음성 decrescendo murmur)

2. 심전도 (ECG)

  • 우심실 비대 소견: 우축편위, 우각차단(RBBB), V1에서 큰 R파

3. 흉부 X선

  • 우심실 비대, 폐혈관 음영 증가 (특히 PVR에서)

4. 심초음파 (Echocardiography)

  • 도플러 검사: 협착의 압력차, 역류 속도 측정
  • 폐동맥판의 해부학적 구조 확인
  • 우심실 기능, 판막 움직임 평가

5. 심장 MRI/CT

  • 정밀한 판막 해부 구조 분석
  • 특히 PR 평가에 유용 (혈류량, 역류분율 등)

6. 심도자 검사 (Cardiac catheterization)

  • 판막 압력차 직접 측정
  • 폐동맥압 측정
  • 수술 전 평가용

치료

폐동맥판 협착

경증~중등도

  • 증상이 없고 압력차가 크지 않으면 모니터링만

중증

  • 경피적 풍선 판막 성형술 (Balloon valvuloplasty): 선천성 협착 치료의 표준
  • 외과적 판막 성형술 또는 치환술 (수술 불가 시)

폐동맥판 폐쇄부전

경증

  • 대부분 치료 불필요, 경과 관찰

중증 (우심실 확장 및 기능 저하 동반 시)

  • 판막 치환술 (pulmonary valve replacement)
    • 생체판막 또는 기계판막 사용
    • Fallot 사정술 후 수년~수십 년 뒤 PR로 인한 경우 많음
  • 심부전 치료 병행:
    • 이뇨제,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등

예후

  • 선천성 폐동맥협착은 풍선성형술로 장기 예후 우수
  • 폐쇄부전은 폐고혈압에 의한 이차성인 경우 예후가 원인 질환에 좌우됨
  • Fallot tetralogy의 수술 후 PR은 수년 후 우심실 부전으로 진행 가능 → 정기적 모니터링 필요

연관 질환

  • Fallot's tetralogy (TOF)
  • Noonan syndrome: 폐동맥판 협착 동반 가능
  • 카르시노이드 증후군: 우심장 판막 병변 (특히 PR)
  • 류마티스성 심장병: 드물지만 PVS 가능

핵심 요약

구분           폐동맥판 협착 (PVS)                        폐동맥판 폐쇄부전 (PVR)

 

원인 선천성 기형 (주요) 폐고혈압, 심내막염 등
증상 운동 시 호흡곤란, 실신 피로, 부종, 심부전
청진 수축기 잡음 (좌상흉부) 이완기 잡음 (Graham Steell murmur)
진단 Echo, 도플러, CT/MRI Echo, 심도자, MRI
치료 풍선 판막성형술 판막 치환술 (심한 경우)

 

 

 

폐동맥판 질환(Pulmonary Valve Disease) 상세 설명

폐동맥판은 심장의 4개 판막 중 하나로, 우심실(심장의 오른쪽 아래 방)과 폐동맥(폐로 혈액을 보내는 큰 동맥)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 판막의 주요 기능은 우심실이 수축할 때 혈액이 폐동맥으로 원활하게 흘러나가도록 열리고, 우심실이 이완할 때 혈액이 폐동맥에서 우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히는 것입니다.

 

폐동맥판 질환은 이 폐동맥판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모든 상태를 의미하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1. 폐동맥판 협착증 (Pulmonary Stenosis, PS)

  • 정의: 폐동맥판이 제대로 완전히 열리지 않아 좁아진 상태입니다. 판막의 첨판(leaflets)이 뻣뻣해지거나, 두꺼워지거나, 서로 달라붙어서 발생합니다.
  • 결과:
    • 판막 입구가 좁아져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혈액이 나가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 우심실은 좁아진 판막을 통해 혈액을 밀어내기 위해 더 많은 압력으로 더 힘들게 일해야 합니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심실 벽이 두꺼워지고(우심실 비대), 결국 기능이 저하되어 우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원인:
    • 선천성 (가장 흔함): 태어날 때부터 폐동맥판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경우입니다. 단독으로 나타나거나, 팔로사징증(Tetralogy of Fallot)과 같은 다른 복잡 심장 기형의 일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과 같은 특정 유전 질환과 연관되기도 합니다.
    • 후천성 (드묾):
      • 류마티스열: 과거에는 원인이었으나 현재는 매우 드뭅니다.
      • 카르시노이드 증후군(Carcinoid syndrome): 특정 종양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판막을 손상시키는 경우입니다.
      • 감염성 심내막염: 판막에 감염이 생겨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 증상:
    • 경증: 증상이 없거나 경미할 수 있습니다.
    • 중등도~중증:
      • 운동 시 호흡 곤란
      • 피로감
      • 흉통 (협심증 유사 통증)
      • 실신 또는 어지러움
      • 심계항진 (심장이 두근거리는 느낌)
      • 청색증 (심한 경우, 특히 신생아에서 입술이나 손톱이 파랗게 변함)
      • 심잡음 (청진 시 특징적인 소리가 들림)

2. 폐동맥판 역류증 (Pulmonary Regurgitation / Insufficiency, PR / PI)

  • 정의: 폐동맥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우심실이 이완할 때 폐동맥의 혈액 일부가 우심실로 다시 새는(역류하는) 상태입니다.
  • 결과:
    • 우심실로 혈액이 역류하면 우심실은 정상적인 혈액량에 더해 역류된 혈액까지 처리해야 하므로 부담이 증가합니다 (용적 과부하).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심실이 늘어나고(우심실 확장) 기능이 저하되어 우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우심방 압력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원인:
    • 폐동맥 고혈압 (가장 흔한 후천성 원인): 폐동맥의 압력이 높아지면 판막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판막이 늘어나고 제대로 닫히지 못하게 됩니다.
    • 선천성: 판막 자체가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경우 (드묾).
    • 이전 심장 수술/시술: 특히 팔로사징증 교정 수술 후 폐동맥판 협착을 해결하기 위해 판막을 넓히거나 제거한 경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 감염성 심내막염: 판막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류마티스열 (매우 드묾)
    • 카르시노이드 증후군
    • 결합조직 질환 (예: 마르판 증후군)
  • 증상:
    • 경증~중등도: 수년간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중증:
      • 피로감
      • 운동 능력 저하
      • 호흡 곤란 (특히 누울 때)
      • 심계항진 (부정맥 발생 가능)
      • 다리나 발목의 부종 (말초 부종)
      • 복부 팽만 또는 부종 (복수)
      • 목 정맥 확장
      • 심잡음 (청진 시 특징적인 소리가 들림)

진단 방법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환자의 증상, 과거력,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청진기로 심잡음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m):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진단 도구입니다. 판막의 구조와 움직임, 협착 또는 역류의 정도, 우심실의 크기와 기능, 폐동맥 압력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심전도 (Electrocardiogram, ECG/EKG):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우심실 비대나 부담의 징후, 부정맥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흉부 X-선: 심장 크기(특히 우심실/우심방 확장)나 폐 혈관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심장 MRI (Cardiac MRI): 심장 초음파보다 더 정확하게 우심실의 크기, 용적,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폐동맥판 역류증 평가에 중요합니다.
  • 심도자술 (Cardiac Catheterization): 다른 검사로 진단이 불확실하거나, 치료(시술) 전에 정확한 압력 측정 및 혈관 조영이 필요할 때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치료는 질환의 종류(협착/역류), 심각도, 증상 유무,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 경과 관찰: 증상이 없고 경미한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인 검진(주로 심장 초음파)을 통해 상태 변화를 추적 관찰합니다.
  • 약물 치료:
    • 판막 자체를 고치는 약은 없습니다.
    • 주로 증상을 완화하거나 합병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이뇨제: 부종이나 심부전 증상을 완화합니다.
    • 항부정맥제: 심계항진이나 부정맥을 조절합니다.
    •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 폐동맥 역류의 원인이 폐동맥 고혈압인 경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시술 및 수술:
    • 풍선 판막 성형술 (Balloon Valvuloplasty): 주로 선천성 폐동맥판 협착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카테터(가는 관) 끝에 달린 풍선을 좁아진 판막 부위에서 부풀려 판막을 넓혀주는 시술입니다.
    • 폐동맥판 치환술 (Pulmonary Valve Replacement): 심한 협착이나 역류로 인해 증상이 심하거나 우심실 기능 저하가 진행될 때 시행합니다. 손상된 판막을 제거하고 인공 판막(조직 판막 또는 기계 판막)으로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 개흉 수술: 전통적인 가슴을 열고 하는 수술입니다.
      • 경피적 폐동맥판 치환술 (Transcatheter Pulmonary Valve Replacement, TPVR): 카테터를 이용하여 인공 판막을 삽입하는 덜 침습적인 시술입니다. 주로 이전에 수술받았던 환자나 특정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 폐동맥판 성형술 (Pulmonary Valve Repair): 판막을 교체하지 않고 기존 판막을 수선하는 수술이지만, 폐동맥판에서는 치환술보다 덜 흔하게 시행됩니다.

예후 및 합병증

  • 경미한 폐동맥판 질환은 예후가 양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 중증 질환을 치료하지 않으면 우심부전, 심각한 부정맥, 감염성 심내막염 위험 증가, 운동 능력 저하, 심한 경우 급사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시기에 진단받고 치료(시술 또는 수술)를 받으면 대부분 증상이 호전되고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지만, 인공 판막의 수명 문제 등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나 재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폐동맥판 질환은 판막이 좁아지거나(협착증) 제대로 닫히지 않는(역류증) 상태로, 주로 선천적인 원인이 많지만 후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심장 초음파가 주요 진단 도구이며, 치료는 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경과 관찰, 약물 치료, 풍선 시술, 판막 치환술 등이 고려됩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관련 증상이 의심된다면 반드시 심장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