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당뇨병성 신병증(Diabetic Nephropathy, DN)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6. 19. 07:05
728x90
반응형
SMALL

당뇨병성 신병증(Diabetic Nephropathy, DN)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장의 사구체(glomeruli)가 손상되어 단백뇨, 신기능 저하, 만성 신부전(ESRD)으로 진행하는 질환입니다. 제1형, 제2형 당뇨병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말기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아래에 병태생리부터 진단, 단계별 변화, 치료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1. 정의

당뇨병성 신병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지속적인 알부민뇨(albuminuria), 점진적 GFR 감소, 그리고 혈압 상승, 다른 미세혈관 합병증의 동반 등을 보이는 당뇨병 유발 신장 질환입니다.


2.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당뇨병성 신병증의 주요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혈당 → 사구체 고혈압(glomerular hyperfiltration)
    → 사구체 모세혈관 내압 상승 → 사구체 손상
  2. 기저막 비후 및 메산지움(matrix) 확장
    사구체 여과막 손상알부민뇨 발생
  3.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축적
    →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 → 섬유화
  4. RAAS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활성화
    → 사구체 섬유화와 단백뇨 악화

3. 진단 기준

당뇨병 환자에서 다음의 변화가 보이면 당뇨병성 신병증을 의심합니다:

검사 항목                                                                    기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ACR) ≥30 mg/g (지속적 미세알부민뇨)
단백뇨 (uPCR) 증가 (지속적)
GFR (사구체 여과율) 점진적 감소 (정상은 ≥90 mL/min/1.73㎡)
기타 고혈압 동반, 망막병증 동반
 

주의: 반드시 3~6개월 간격으로 2~3회 반복 검사에서 지속적 변화 확인해야 함.


4. 진행 단계 (Mogensen 분류)

단계            설명                                                          특징

 

1단계 고혈당에 의한 사구체 과여과기 GFR 증가, 무증상
2단계 무증상기 조직학적 변화 시작, GFR 정상
3단계 미세알부민뇨기 ACR 30–300 mg/g, 조기 발견 가능
4단계 임상적 단백뇨기 ACR >300 mg/g, 고혈압 동반
5단계 말기 신부전 (ESRD) 투석 또는 이식 필요
 

5. 관련 검사

A. 소변 검사

  • ACR (Albumin-Creatinine Ratio): 아침 첫 소변으로 측정
  • uPCR (단백/크레아티닌 비율)

B. 혈액 검사

  • eGFR (estimated GFR)
  • BUN, Creatinine

C. 영상 검사

  • 초음파: 진행 시 신장 위축 확인 가능

6. 치료 원칙

혈당 조절

  • 목표 HbA1c: 일반적으로 <7%
  • 제1형: 인슐린 필수
  • 제2형: 메트포르민 ± 인슐린, SGLT2 억제제, GLP-1 agonist

혈압 조절

  • 목표: <130/80 mmHg
  • 1차 약제: ACEI 또는 ARB
    → 사구체 내압 감소 및 단백뇨 억제

단백뇨 감소

  • RAAS 차단제 사용
  • 염분 제한 (소금 섭취 줄이기)
  • 저단백 식이 (진행기에 따라 조절)

신기능 보호 약제

  • SGLT2 억제제 (예: dapagliflozin): 신장 보호 효과 입증
  • GLP-1 유사체 (예: semaglutide): 심혈관/신장 보호

기타 관리

  • 이상지질혈증 조절: 스타틴
  • 금연
  • 체중 조절, 운동
  • 정기적 망막 검사 (망막병증 동반 여부 확인)

7. 말기 진행 시 치료

  • 투석(hemodialysis 또는 peritoneal dialysis) 필요
  • 신장 이식 가능성 고려
  • 당뇨병+신부전 복합 환자 관리 필요 (혈당약 감량/변경 등)

8. 감별 진단

  • 비당뇨병성 신증 구분이 필요할 경우:
    • 망막병증 없음
    • 빠른 GFR 감소
    • 혈뇨, RBC cast 동반
    • 신장 크기 작거나 비대칭
    • 신장 생검 필요 시점 판단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정의 당뇨병으로 인한 신장 사구체 손상 및 기능 저하
병태생리 고혈당, 사구체 고혈류, 염증, 섬유화
초기 증상 무증상 또는 미세알부민뇨
진단 기준 ACR ≥30 mg/g, 지속적 단백뇨, eGFR 감소
치료 혈당/혈압 조절, ACEI/ARB, SGLT2 억제제
진행 5단계 → ESRD 시 투석/이식 고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