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폐쇄성 혈전 혈관염 , 버거병(Buerger’s Disease, Thromboangiitis Obliterans)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5. 14. 16:44
728x90
반응형
SMALL

폐쇄성 혈전 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흔히 버거병(Buerger’s disease)으로 알려진 이 질환은 젊은 남성 흡연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소혈관과 중간 크기의 동맥 및 정맥에 염증과 혈전이 생겨 점진적으로 혈관이 폐쇄되어 사지의 허혈과 궤양, 괴사로 진행하는 비죽상경화성(non-atherosclerotic) 염증성 혈관질환입니다.


폐쇄성 혈전 혈관염 (Buerger’s Disease, Thromboangiitis Obliterans)


1. 정의

  • 소동맥, 정맥, 말초 신경에 다발성 염증과 혈전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성 혈관염
  • 특히 하지를 잘 침범하며, 드물게 상지까지 진행
  • 비죽상경화성 염증과 혈전이 혈관을 폐쇄시키며, 측부혈류 형성은 미약
  • 흡연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매우 강함

2. 역학

항목                특징

 

성별 남성 > 여성 (20:1 이상)
연령 주로 20~45세의 젊은 연령층
인종 아시아, 중동, 지중해 연안 국가에서 흔함
흡연 95% 이상에서 흡연력 존재 (발병과 밀접한 연관)
 

3. 병태생리

  1. 혈관 염증과 혈전 형성
    • 염증이 혈관 전체 층(transmural)에 발생 → 혈관 내강에 혈전이 형성
    • 혈전은 중심부에 괴사된 백혈구와 다핵세포(neutrophil microabscess)를 포함
    • 혈관벽은 비교적 보존됨 (죽상경화와의 차이점)
  2. 혈관 폐쇄
    • 재개통(recanalization)이 어렵고, 점진적으로 혈류 차단
    • 측부혈류(collateral circulation) 형성도 제한적
  3. 신경염 동반
    • 염증이 말초 신경을 침범하여 통증과 감각이상 동반

4. 위험인자

인자                                    설명
 
흡연 가장 강력한 인자 (니코틴이 면역반응과 혈관 내피에 영향)
유전적 소인 HLA-B5, HLA-B54 등 관련 보고
자가면역 기전 항내피세포 항체, 과민반응이 관여 추정
남성, 젊은 나이 40세 이하의 남성에서 주로 발생
 

5. 증상

하지 증상 (가장 흔함)

  • 간헐적 파행: 보행 시 종아리 또는 발 통증
  • 휴식 시 통증: 특히 야간에 심함 (사지의 말단에 국한)
  • 발 또는 손의 허혈 증상: 차가움, 창백, 감각 저하
  • 허혈성 궤양/괴저: 발가락, 손가락의 괴사 (특히 엄지와 2번째 발가락)

상지 증상

  • 드물게 손가락 끝 통증, 감각이상, 허혈성 괴사

정맥염 (Superficial thrombophlebitis)

  • 이동성 표재 정맥염: "Migratory thrombophlebitis"

자율신경 증상

  • 사지 발한 저하, 색 변화 (레이노 증상 유사)

6. 진단 기준 (Shionoya Criteria - 가장 많이 사용)

  1. 50세 미만
  2. 현저한 흡연력
  3. 하지 또는 상지의 말초 허혈 증상
  4. 표재성 이동성 정맥염의 병력
  5. 동반 질환의 배제 (죽상경화증, 당뇨병, 혈전색전질환 등)

7. 진단 방법

진단법                                설명
 
혈관조영술 (Angiography) “코르크마개처럼 잘린” segmental vascular occlusion, “collateral corkscrew” 모양의 측부혈관 관찰
도플러 초음파 폐색 부위의 혈류 속도 저하
ABI 측정 발목-상완 지수 감소 (비특이적)
혈액검사 자가면역질환, 혈전성 질환 감별용 (일반적으로 특이소견 없음)
조직검사 필요 시 (혈관벽은 보존, 혈전 내 염증세포 관찰)
 

8. 감별 진단

질환                                         차이점
 
죽상경화증 고령, 고지혈증, 당뇨와 관련, 염증 적고 재개통 가능
색전성 질환 급성 증상, 심장질환 동반 가능
레이노병 자율신경 이상, 청색증/창백/충혈 반복
전신성 혈관염 염증성 마커 상승, 다른 장기 침범 가능
항인지질증후군 반복 혈전, 자가항체 양성
 

9. 치료

1) 절대적인 금연  (가장 중요)

  • 유일하게 질병의 진행을 멈출 수 있는 치료법
  • 니코틴 대체요법, 행동치료 병행
  • 흡연 지속 시 궤양, 괴사, 절단 위험 매우 높음

2) 보존적 치료

항목                                                     설명

 

혈관확장제 Iloprost (prostaglandin analog) 등
혈소판 억제제 Aspirin, Clopidogrel 등
보행운동 간헐적 파행 개선에 도움
통증 조절 필요시 마약성 진통제
사지 보온 저온 회피로 말초혈관 수축 방지
 

3) 수술적/중재적 치료

  • 재혈관화가 어려움 (분절성 폐색 + 말초 동맥 침범)
  • 교감신경절제술: 통증 완화 목적
  • 절단: 감염 및 괴저 진행 시 최종 수단

10. 예후

  • 흡연 지속 시 질병은 지속적으로 진행
  • 5년 이내에 사지 절단률 25~40%
  • 완전한 금연 시 → 질병의 진행 중단 가능

11. 요약

항목                    설명
 
특징 젊은 남성, 흡연력, 사지 말단 허혈
병태 염증 + 혈전 → 혈관 폐쇄 (소혈관 중심)
진단 혈관조영술, 임상증상, 감별진단
치료 금연, 대증요법, 절단 회피 중심
예후 금연이 유일한 예후 개선 인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