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변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5. 6. 17:10
728x90
반응형
SMALL

변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또는 프린츠메탈 협심증(Prinzmetal angina)은 관상동맥의 일시적인 경련(vasospasm)으로 인해 발생하는 협심증의 일종입니다. 죽상경화증이 없어도 생길 수 있으며, 안정 시 흉통이 발생하고, 일시적인 ST 분절 상승을 특징으로 합니다. 일반적인 안정형 협심증과는 병태생리, 임상 양상, 치료 접근법이 다릅니다.


1. 정의

변이형 협심증(Variant/Prinzmetal angina)은:

  • 안정 시 발생하는 흉통
  • 관상동맥의 자발적인 일시적 경련(vasospasm)이 원인
  • 일시적인 심근허혈 → ST 분절 상승
  • 대부분 밤이나 이른 새벽에 증상 발생
  • 죽상경화증과 무관할 수도 있고, 병존할 수도 있음

2. 병태생리

주기적인 관상동맥 경련

  • 주로 관상동맥의 근위부(proximal segment)에서 발생
  • 자율신경계 불균형, 내피세포 기능 이상, 혈관과민반응 등으로 인해 경련 유발

자극 요인

  • 흡연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 코카인, 암페타민, 알코올
  • 스트레스, 과도한 냉기 자극
  • 혈관수축 유발 약물 (에르고타민, 수마트립탄 등)

병리적 특징

  • 경련 자체로 일시적인 심근허혈 발생
  • 반복되는 경우에는 심근 손상, 부정맥, 심근경색까지 진행 가능

3. 임상 증상

항목                                            특징

 

흉통 발생 시기 주로 밤~이른 새벽, 안정 시
통증 양상 쥐어짜는 듯한 흉통, 명확한 위치, 방사통 가능
지속 시간 보통 5~15분
운동 유발 없음 일반적인 협심증과 다르게 운동과 무관
질산제 반응 빠르고 효과적 (nitroglycerin에 잘 반응)
동반 증상 실신, 심계항진, 부정맥, 심실세동까지 가능
 

4. 진단

심전도(EKG)

  • 발작 시 ST 분절 상승 (일시적, 일과성)
  • 관상동맥경색(STEMI)와 비슷하지만 발작 종료 후 정상화
  • T파 역전, 심실성 부정맥 동반 가능

혈중 심근효소

  • 대부분 정상
  • 경련이 장기화되면 상승할 수 있음

관상동맥조영술 (CAG)

  • 휴식 시에는 정상 소견일 수 있음
  • 아세틸콜린, 에르고노빈 등 유발검사로 경련 유도 → 진단
    • 경련 유발 시 ST 상승 + 흉통 재현

5. 감별진단

질환                                        구분 포인트

 

안정형 협심증 운동 시 유발, ST 하강, 죽상경화 있음
STEMI 지속적인 ST 상승, 심근효소 상승, 심근괴사 동반
NSTEMI ST 하강 또는 T파 역전, Troponin 상승
변이형 협심증 안정 시 ST 상승, Troponin 정상, 경련성 변화
 

6. 치료

1차 약물치료

약물군                                                        작용

 

Calcium Channel Blocker (CCB) 관상동맥 경련 억제 (1차 선택 약물)
- 예: Diltiazem, Amlodipine, Verapamil
Nitrate 급성 발작 시 증상 완화, 경련 예방
Statin 내피기능 개선, 장기예후에 도움 (죽상경화 동반 시)
 

피해야 할 약물

  • β-blocker는 관상동맥의 α-수용체 작용을 증가시켜 경련 악화 가능 → 사용 금지

7. 예후 및 관리

  • 단순한 경련만 있는 경우는 예후 양호
  • 반복되거나 광범위 혈관에서 발생 시 부정맥, 심정지 위험 증가
  • 흡연은 반드시 중단, 스트레스 및 경련 유발인자 회피 필요
  • 약물 조절이 안 될 경우 스텐트 삽입 고려 (경련 부위 확인된 경우)

요약 정리

항목                  변이형 협심증 (Prinzmetal angina)

 

원인 관상동맥 경련
증상 안정 시, 새벽 시간대 흉통, 질산제 반응 ↑
EKG 발작 시 일시적 ST 분절 상승
진단 유발검사에서 관상동맥 경련 유도
치료 CCB + Nitrate, β차단제 금기
예후 일반적으론 양호하나, 반복 시 위험 (부정맥 등)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