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고지혈증(Hyperlipidemia) 의 약물 요법(Pharmacologic Therapy) 은 식이요법 및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한 지질 조절이 어려운 경우 시행되며, 심혈관계 질환 예방의 핵심 전략입니다. 약물은 주로 LDL 콜레스테롤 감소, 중성지방(TG) 조절, HDL 콜레스테롤 증가 등을 목표로 사용됩니다.
1. 고지혈증 약물요법의 목표
목표 지질 수치 기준
LDL-C (저밀도지단백) | < 100 mg/dL (고위험군: <70 또는 <55) |
HDL-C (고밀도지단백) | > 40 mg/dL (남성), > 50 mg/dL (여성) |
TG (중성지방) | < 150 mg/dL |
Non-HDL-C | LDL 목표 + 30 mg/dL 이하 |
2. 주요 고지혈증 약물 종류 및 기전
약물군 기전 주요 효과 대표 약물
스타틴 (Statins) | HMG-CoA reductase 억제 → 콜레스테롤 합성 감소 | LDL ↓↓, TG ↓, HDL ↑ | Atorvastatin, Rosuvastatin, Simvastatin 등 |
에제티미브 (Ezetimibe) |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 LDL ↓ (15~20%) | Ezetimibe (Zetia) |
PCSK9 억제제 | LDL 수용체 분해 억제 → LDL-C 제거 ↑ | LDL ↓↓↓ (~60%) | Evolocumab (Repatha), Alirocumab |
피브레이트 (Fibrates) | PPAR-α 작용 → TG 분해 ↑, HDL ↑ | TG ↓↓, HDL ↑, LDL 약간 ↓ | Fenofibrate, Gemfibrozil |
니코틴산 (Niacin) | 간 TG 합성 억제 | LDL ↓, TG ↓, HDL ↑↑ | Niacin (고용량 시 사용) |
오메가-3 지방산 | 간 TG 합성 억제, TG 분해 촉진 | TG ↓ (20~50%) | EPA, DHA (예: Lovaza) |
Bile acid sequestrants | 담즙산 결합 → 간에서 콜레스테롤 소비 ↑ | LDL ↓ | Cholestyramine, Colesevelam 등 |
3. 약물별 특징 및 적응증
1) Statins (1차 선택약물)
- 1차 예방: LDL 높고, ASCVD 위험요인(흡연, 당뇨 등) 있는 경우
- 2차 예방: 이미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이 있는 환자
- 강력제제: Atorvastatin, Rosuvastatin (고강도 사용 시 LDL >50% 감소)
용량 고강도 예시
Atorvastatin 40~80mg | Rosuvastatin 20~40mg |
간기능 검사, CK 수치 주기적 모니터링 필요
2) Ezetimibe
- Statin 단독으로 LDL 조절 안 될 때 병용
- Statin 불내성 환자에 단독 사용 가능
-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도 입증됨 (IMPROVE-IT study)
3) PCSK9 억제제
-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위험군에서 LDL 극대 조절 필요 시
- SC(피하주사) 제형, 비용 높음
- Statin + Ezetimibe 병합에도 조절 실패 시 사용
4) Fibrate 계열
- TG > 500 mg/dL 이상에서 췌장염 예방 목적
- 당뇨병성 이상지질혈증 (TG↑ + HDL↓)
- Statin과 병용 시 근육독성 위험 주의 (특히 Gemfibrozil)
5) 오메가-3 지방산 (EPA/DHA)
- TG 중증 상승 시 유용
- 순수 EPA 제제 (Icosapent ethyl) 는 심혈관 사망률 감소 효과 있음 (REDUCE-IT trial)
6) Niacin (니코틴산)
- TG ↓, HDL ↑ 효과 있으나
- 부작용 많고, 최근 가이드라인에서는 사용 제한적
- Flushing, 간독성, 당뇨 악화 등 부작용으로 인해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음
4. 치료 전략 요약
환자군 치료 전략
LDL ≥ 190 mg/dL | 고강도 Statin 단독 시작, 필요시 Ezetimibe/PCSK9 추가 |
ASCVD (관상동맥질환 등) | 고강도 Statin, LDL ≥ 70 지속 시 병용요법 고려 |
당뇨 + LDL ≥ 70 + 고위험 | 중등도~고강도 Statin 시작 |
TG ≥ 500 mg/dL | Fibrate, 오메가-3, 식이조절 필수 (췌장염 예방 우선) |
Statin 불내성 | Ezetimibe 또는 PCSK9 억제제 단독 또는 병용 |
5. 모니터링 및 추적
- 6~12주 후 혈중 지질 수치 재검
- 간기능 (ALT, AST), 근육효소(CK) 정기 확인
- 이상반응(근육통, 위장장애 등) 관찰
- 복약 순응도 확인 및 교육
정리: 약물 요법 선택 Flow
[고지혈증 진단] → [LDL-C 수치 평가] → [심혈관 위험도 분류] ↓ 1차: Statin 시작 ↓ LDL 목표 미도달 시: → Ezetimibe 병용 → 고위험군/가족성: PCSK9 억제제 추가 ↓ 중성지방 > 500: Fibrate/오메가-3 고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