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심전기생리학 검사(Electrophysiology Study, EPS)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4. 1. 18:11
728x90
반응형
SMALL

심전기생리학 검사(Electrophysiology Study, EPS)

심전기생리학 검사는 심장의 전기 신호를 직접 기록하고 분석하여 부정맥(Arrhythmia)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사용되는 침습적 검사입니다.


1. 목적

심전기생리학 검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 부정맥의 진단:
    • 심실성 또는 심방성 빈맥의 기전 파악
    • WPW(Wolff-Parkinson-White) 증후군과 같은 부정맥 질환 확인
    • 동기능부전증(Sick Sinus Syndrome), 방실차단(AV Block) 평가
  • 치료 계획 수립:
    •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 가능 여부 평가
    • 항부정맥제의 효과 확인
  • 실신(Syncope)의 원인 평가:
    • 미주신경성 실신(Neurocardiogenic Syncope) 감별
    • 심장 전도 장애로 인한 실신 여부 확인

2. 검사 과정

(1) 준비 과정

  • 금식: 검사 전 최소 6~8시간 금식
  • 항부정맥제 중단: 검사 3~5일 전부터 항부정맥제 중단(필요한 경우)
  • 혈액 검사 및 심초음파 검사 시행: 기저 심장 상태 평가
  • 진정제 사용 여부 결정: 일반적으로 국소 마취를 시행하지만, 필요 시 진정제 사용 가능

(2) 검사 절차

  1. 혈관 접근:
    • 대퇴정맥(Femoral vein) 또는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으로 접근하여 전극 카테터 삽입
    • 경우에 따라 대퇴동맥(Femoral artery) 접근도 필요할 수 있음
  2. 전극 카테터 배치:
    • 심장의 주요 부위(우심방, 우심실, 히스 속, 관상동맥동 등)에 전극 카테터를 위치시킴
  3. 심장 전기 신호 기록:
    • 심장의 기본 전기 활동을 기록
  4. 조율 자극(Pacing) 시행:
    • 특정 주파수로 전기 자극을 가하여 부정맥을 유발하고 반응을 관찰
  5. 부정맥 기전 분석:
    • 부정맥이 유도되면 회귀(reentry) 기전, 이소성 초점(ectopic focus) 등을 분석
  6.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RFCA, 필요 시):
    • 부정맥을 유발하는 병소를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거

3. 검사 후 관리

  • 검사 후 4~6시간 동안 절대 안정 필요(혈관 천자 부위 출혈 방지)
  • 검사 부위 출혈 여부 확인
  • 검사 후 일시적으로 경미한 흉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음
  •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절제술, 약물 치료 등) 결정

4.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 출혈 및 혈종 형성
  • 혈관 손상(천자 부위 출혈, 혈전 형성)
  • 심장 천공(매우 드물지만 가능)
  • 부정맥 악화(부정맥 유도 과정에서 심실세동이 발생할 수 있음)
  • 혈압 저하 및 실신

5. 결과 해석

심전기생리학 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 정상 결과: 유도된 부정맥이 없거나 임상적으로 문제가 없는 경우
  • 비정상 결과: 특정한 부정맥이 유도되거나 심장 전도 장애가 확인되면 치료적 개입(약물, 절제술 등) 필요

심전기생리학 검사는 정확한 부정맥 진단과 치료 결정에 중요한 검사이며, 특히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과 함께 시행될 때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심전기생리학 검사(Electrophysiology Study, EPS)에 대한 상세한 설명

심전기생리학 검사(EPS)는 심장의 전기 시스템(electrical system)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한 침습적(invasive) 진단 검사입니다. 심전도(ECG 또는 EKG)가 피부 표면에서 심장의 전반적인 전기 활동을 기록하는 비침습적인 검사인 반면, EPS는 심장 내부에 직접 특수 전극 카테터(catheter)를 삽입하여 국소적인 전기 신호를 기록하고, 인위적으로 심장을 자극하여 부정맥(arrhythmia)을 유발하고 분석함으로써 부정맥의 종류, 발생 위치, 기전 등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쉽게 말해, 심장의 전기 회로도를 직접 들어가서 어디가 합선되었는지, 어디가 끊어졌는지, 어디서 불필요한 스파크가 발생하는지 등을 찾아내는 정밀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심전기생리학 검사(EPS)는 왜 하나요? (검사 목적 및 적응증)

EPS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시행됩니다.

  • 부정맥의 정확한 진단:
    • 원인 불명의 실신(syncope), 어지럼증(dizziness), 심계항진(palpitation,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그 원인이 되는 부정맥을 찾아내기 위해 시행합니다.
    • 심전도나 홀터 모니터(24시간 심전도) 등 비침습적 검사에서 부정맥이 의심되지만 명확하게 진단되지 않는 경우 확진을 위해 시행합니다.
    • 특히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SVT), 심방조동(atrial flutter),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등 다양한 부정맥의 종류와 발생 부위를 정확히 감별 진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부정맥의 기전 규명: 부정맥이 어떤 전기적 회로(기전)를 통해 발생하는지 파악합니다. (예: 비정상적인 전기 회로의 회귀, 비정상적인 자동능 등)
  • 돌연 심장사 위험도 평가: 특정 심장 질환(예: 심근경색 후, 비후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등) 환자에서 치명적인 심실 부정맥 발생 위험 및 돌연 심장사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치료 방침 결정:
    •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의 사전 평가 및 시술: EPS를 통해 부정맥의 발생 부위를 정확히 찾아낸 후, 해당 부위에 고주파 에너지나 냉각 에너지를 전달하여 비정상적인 전기 조직을 파괴하는 '전극도자 절제술'의 대상이 되는지 판단하고, 시술 시 정확한 위치를 찾는 지도로 활용됩니다. 많은 경우 진단적 EPS와 치료적 절제술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 약물 치료 효과 평가: 특정 항부정맥 약물이 부정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심박 조율기(Pacemaker) 또는 삽입형 제세동기(ICD) 삽입 필요성 평가: 서맥(느린 맥박)이나 치명적 빈맥(빠른 맥박)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이러한 장치의 삽입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심장 전도 시스템 기능 평가: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이나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과 같은 심장 내 정상적인 전기 전도 시스템의 기능을 평가합니다.

2. 심전기생리학 검사(EPS)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검사 과정)

EPS는 일반적으로 심혈관 조영실(catheterization lab) 또는 전기생리학 검사실(EP lab)에서 시행되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 검사 전 준비:
    • 보통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합니다.
    • 복용 중인 약물(특히 항부정맥제, 항응고제 등)에 대해 의료진과 상의하여 필요시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조정합니다.
    • 검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 정맥 주사 라인을 확보합니다.
  • 검사 중:
    • 환자는 검사 테이블 위에 눕습니다.
    • 가슴과 등에 심전도 전극 패치를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심장 리듬을 모니터링합니다. 혈압, 산소포화도 등 활력 징후도 계속 감시합니다.
    • 국소 마취 및 카테터 삽입: 주로 사타구니(서혜부)의 대퇴 정맥(femoral vein) 부위를 소독하고 국소 마취를 합니다. 때로는 목이나 팔의 혈관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피부를 통해 혈관으로 작은 관(sheath)을 삽입하고, 이 관을 통해 2~5개 정도의 가늘고 긴 특수 전극 카테터를 X-선 투시 영상(fluoroscopy)을 보면서 심장 내부의 특정 위치(예: 우심방, 우심실, 히스 속(His bundle),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에 조심스럽게 위치시킵니다.
    • 기본 전기 신호 기록: 심장 내부에 위치한 전극 카테터를 통해 심장의 자연적인 전기 활동 신호를 정밀하게 기록하고 분석합니다. (Baseline electrogram recording)
    • 전기 자극 (Pacing): 카테터 끝을 통해 약한 전기 자극을 다양한 속도와 패턴으로 심장에 전달하여 심장 전도 시스템의 반응을 평가하고, 잠재되어 있는 부정맥을 의도적으로 유발시켜 관찰합니다. (Programmed electrical stimulation)
    • 부정맥 유발 및 분석: 인위적으로 부정맥이 유발되면, 그 종류, 시작 및 종료 양상, 전기적 경로 등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 약물 투여 (필요시): 특정 약물(예: 이소프로테레놀, 아데노신 등)을 정맥 주사하여 부정맥을 유발하거나 종료시키면서 반응을 관찰하기도 합니다.
    • (필요시) 전극도자 절제술 시행: 진단적 EPS 후 부정맥의 원인 부위가 명확히 확인되고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해당 부위에 특수 절제술 카테터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류나 냉각 에너지를 전달하여 문제 부위를 치료합니다.
  • 검사 시간: 검사의 목적과 내용, 절제술 시행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3시간 정도 소요되며, 복잡하거나 절제술을 함께 하는 경우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환자는 검사 중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지만, 불안감 완화를 위해 진정제(수면 유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검사 후:
    • 카테터를 제거하고 삽입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합니다.
    • 지혈을 위해 몇 시간 동안 침상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보통 4~6시간 정도 다리를 구부리지 않고 똑바로 누워 있어야 함)
    • 심장 리듬과 활력 징후, 카테터 삽입 부위의 출혈 여부 등을 면밀히 관찰합니다.
    • 대부분 검사 다음 날 퇴원 가능하지만, 상태에 따라 입원 기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심전기생리학 검사(EPS)의 위험성 및 합병증은 무엇인가요?

EPS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지만, 침습적인 시술이므로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카테터 삽입 부위 관련 합병증: 출혈, 혈종(멍울), 감염, 통증 등 (가장 흔함)
  • 혈관 손상: 동정맥루, 가성 동맥류 등
  • 혈전 형성 및 색전증: 혈관이나 심장 내부에 혈전(피떡)이 생겨 뇌졸중, 폐색전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항응고제를 사용하여 예방)
  • 부정맥 유발: 검사 중 의도적으로 부정맥을 유발하지만, 드물게 조절되지 않거나 위험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상 응급 처치 준비)
  • 심장 전도 장애: 정상적인 전기 전도 경로가 손상되어 심박 조율기가 필요한 방실 차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절제술 시)
  • 심장 압전(Cardiac Tamponade): 드물지만 카테터에 의해 심장 벽이 손상(천공)되어 심낭 내에 피가 고이는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감염: 심내막염 등
  • 방사선 노출: X-선 투시 영상 사용으로 인한 방사선 노출 (일반적으로 안전한 수준)
  • 조영제 또는 약물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 등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매우 낮습니다. 의료진은 이러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만일의 상황에 대비한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4. 심전기생리학 검사(EPS)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 정확한 진단: 부정맥의 종류, 발생 위치, 기전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표준 검사법입니다.
  • 치료 방향 설정: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약물 치료, 전극도자 절제술, 기기 삽입 등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 치료적 시술 가능: 진단과 동시에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여 부정맥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예후 예측: 돌연 심장사 등 위험도를 평가하여 예후를 예측하고 예방적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심전기생리학 검사(EPS)는 심장의 전기 시스템 이상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고 강력한 도구입니다. 침습적인 검사라는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부정맥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고 최적의 치료 전략을 수립하며, 나아가 전극도자 절제술을 통해 완치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만약 EPS 검사를 권유받았다면, 검사의 필요성과 과정, 잠재적 위험성 및 이점에 대해 담당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