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 Adenohypophysis) 호르몬
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의 뇌하수체 문맥계(hypophyseal portal system)를 통해 조절되며, 여러 가지 중요한 호르몬을 직접 합성 및 분비한다.
1.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개요
뇌하수체 전엽은 총 6가지 주요 호르몬을 분비하며, 각 호르몬은 특정 표적 기관을 조절한다.
호르몬 영어 약어 기능 표적 기관
성장호르몬 | GH (Growth Hormone) | 성장 촉진, 단백질 합성, 지방 분해 | 간, 뼈, 근육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ACT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 부신겉질에서 코르티솔 분비 촉진 | 부신겉질 |
갑상샘자극호르몬 | 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 | 갑상샘 호르몬(T3, T4) 분비 촉진 | 갑상샘 |
난포자극호르몬 | FS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 난포 성장, 정자 생성 촉진 | 난소, 고환 |
황체형성호르몬 | LH (Luteinizing Hormone) | 배란 촉진, 테스토스테론/프로게스테론 생성 유도 | 난소, 고환 |
프로락틴 | PRL (Prolactin) | 유즙 생성 촉진 | 유선 |
이들 호르몬은 시상하부의 방출호르몬(RH)과 억제호르몬(IH)에 의해 조절된다.
2. 각 호르몬의 상세 기능 및 조절 기전
(1) 성장호르몬(GH, Growth Hormone)
- 기능:
- 성장 촉진 → 뼈와 근육 성장
- 단백질 합성 증가
- 지방 분해 촉진
- 혈당 상승 (인슐린 길항 작용)
- 조절 기전:
- 시상하부 조절:
-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HRH,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 → GH 분비 촉진
- 성장호르몬 억제호르몬(GHIH, 소마토스타틴) → GH 분비 억제
- 간에서 IGF-1(인슐린유사성장인자) 생성 → GH 효과 증폭
- 시상하부 조절:
- 과다/부족 시 증상:
- 과다: 거인증(소아), 말단비대증(성인)
- 부족: 소인증(성장 장애)
(2)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 기능:
- 부신겉질에서 코르티솔(Cortisol), 알도스테론(Aldosterone), 안드로겐 분비 촉진
- 스트레스 반응 조절
- 면역 억제 작용
- 조절 기전:
- 시상하부 조절: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CRH,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 ACTH 분비 촉진
- 부신겉질의 피드백:
- 혈중 코르티솔 증가 → ACTH 감소(음성 피드백)
- 시상하부 조절:
- 과다/부족 시 증상:
- 과다: 쿠싱병(Cushing’s Disease, 고혈압, 중심성 비만, 혈당 상승)
- 부족: 애디슨병(Addison’s Disease, 저혈압, 체중 감소, 색소 침착)
(3) 갑상샘자극호르몬(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
- 기능:
- 갑상샘에서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 티록신(T4) 생성 촉진
- 기초대사율 증가
- 심혈관계, 신경계 활성화
- 조절 기전:
- 시상하부 조절:
-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RH,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 TSH 분비 촉진
- 갑상샘 호르몬 피드백:
- T3, T4 증가 → TSH 감소(음성 피드백)
- 시상하부 조절:
- 과다/부족 시 증상:
- 과다: 갑상샘기능항진증(그레이브스병, 빠른 심박수, 체중 감소, 불안)
- 부족: 갑상샘기능저하증(피로, 체중 증가, 추위 민감)
(4) 난포자극호르몬(FS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 기능:
- 여성: 난소에서 난포 성장 촉진, 에스트로겐 분비
- 남성: 고환에서 정자 생성 촉진
- 조절 기전:
- 시상하부 조절:
-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 FSH 분비 촉진
- 성호르몬 피드백:
-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증가 → FSH 억제(음성 피드백)
- 시상하부 조절:
- 과다/부족 시 증상:
- 과다: 조기 난소 기능 저하,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 부족: 불임, 무월경
(5) 황체형성호르몬(LH, Luteinizing Hormone)
- 기능:
- 여성: 배란 촉진, 프로게스테론 생성
- 남성: 고환에서 테스토스테론 생성
- 조절 기전:
- 시상하부 조절:
-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 LH 분비 촉진
- 성호르몬 피드백:
-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증가 → LH 억제(음성 피드백)
- 시상하부 조절:
- 과다/부족 시 증상:
- 과다: 조기 폐경, 다낭성 난소 증후군
- 부족: 성기능 저하, 불임
(6) 프로락틴(PRL, Prolactin)
- 기능:
- 유즙 분비 촉진
- 모성 행동 유도
- 조절 기전:
- 시상하부 조절:
- 도파민(PRIH, Prolactin-Inhibiting Hormone) → PRL 억제
- TRH → PRL 촉진
- 출산 후:
- 유방 자극 → PRL 증가(양성 피드백)
- 시상하부 조절:
- 과다/부족 시 증상:
- 과다: 프로락틴종(무월경, 유즙 분비, 성욕 감소)
- 부족: 모유 분비 장애
3. 정리
- 뇌하수체 전엽은 6가지 호르몬(GH, ACTH, TSH, FSH, LH, PRL)을 분비.
- 시상하부에서 방출/억제 호르몬으로 조절됨.
- 각 호르몬은 특정 표적 기관에 작용하여 성장, 대사, 생식 기능을 조절.
- 호르몬 이상 시 성장 장애, 불임, 갑상샘 질환, 쿠싱병 등이 발생.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