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내분비계통(Endocrine System)
내분비계통은 호르몬(hormone)을 생성하고 분비하는 기관과 조직의 집합으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호르몬은 혈류를 통해 표적 기관에 전달되어 신체의 성장, 대사, 생식, 면역 기능 등을 조절한다.
1. 내분비계의 구성 기관
내분비계는 주요 내분비샘(선)과 이차적 내분비 기능을 가진 조직으로 나뉜다.
(1) 주요 내분비샘
- 시상하부 (Hypothalamus)
- 내분비계와 신경계를 연결하는 기관.
- 뇌하수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
- 주요 호르몬: TRH(갑상샘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CRH(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GnRH(생식샘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GHRH(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 소마토스타틴(GHIH, 성장 호르몬 억제 호르몬), 도파민(PRIH, 프로락틴 억제 호르몬) 등.
- 뇌하수체 (Pituitary Gland)
- 시상하부의 신호를 받아 여러 호르몬을 분비하는 "마스터샘".
- 전엽(adenohypophysis): ACTH, TSH, GH, LH, FSH, PRL 분비.
- 후엽(neurohypophysis): 옥시토신(OT), 항이뇨호르몬(ADH, 바소프레신) 저장 및 분비.
- 갑상샘 (Thyroid Gland)
- 대사 조절과 성장에 중요한 호르몬을 생산.
- 주요 호르몬: T3(트라이요오드타이로닌), T4(티록신), 칼시토닌(뼈 대사 조절).
- 부갑상샘 (Parathyroid Gland)
- 혈중 칼슘 농도 조절.
- 주요 호르몬: PTH(부갑상샘 호르몬, 파라토르몬) → 혈중 칼슘 증가.
- 부신 (Adrenal Gland)
- 부신겉질(피질, cortex)과 부신속질(수질, medulla)로 구성.
- 부신겉질: 스테로이드 호르몬(코르티솔, 알도스테론, 안드로겐) 생산.
- 부신속질: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생산.
- 췌장 (Pancreas, 내분비 기능)
- 랑게르한스섬에서 혈당 조절 호르몬 분비.
- 알파세포(α): 글루카곤(혈당 상승).
- 베타세포(β): 인슐린(혈당 감소).
- 델타세포(δ): 소마토스타틴(호르몬 억제 조절).
- 생식샘 (Gonads)
- 남성의 고환(testis)과 여성의 난소(ovary).
- 고환: 테스토스테론 생산.
- 난소: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생산.
(2) 내분비 기능을 가진 조직
- 송과샘 (Pineal Gland)
- 멜라토닌(melatonin) 생성 → 생체 리듬 조절(수면 주기).
- 흉선 (Thymus)
- 면역세포(T 림프구) 성숙에 중요한 티모신(Thymosin) 분비.
- 심장 (Heart)
- ANP(심방나트륨이뇨펩타이드) 분비 → 혈압 조절.
- 신장 (Kidney)
- 에리스로포이에틴(EPO): 적혈구 생성 촉진.
- 레닌(Renin): 혈압 조절(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 위장관 (Gastrointestinal Tract)
- 가스트린(Gastrin): 위산 분비 촉진.
- 세크레틴(Secretin): 췌장 효소 분비 조절.
- 콜레시스토키닌(CCK): 담즙 분비 촉진.
2. 주요 내분비 호르몬과 기능
호르몬 분비 기관 주요 기능
TRH | 시상하부 | TSH 분비 촉진 |
CRH | 시상하부 | ACTH 분비 촉진 |
GnRH | 시상하부 | FSH/LH 분비 촉진 |
GHRH | 시상하부 | GH 분비 촉진 |
소마토스타틴 | 시상하부, 췌장 | GH, TSH, 인슐린 억제 |
도파민(PRIH) | 시상하부 | 프로락틴 억제 |
TSH | 뇌하수체 전엽 | 갑상샘 호르몬 분비 촉진 |
ACTH | 뇌하수체 전엽 | 부신겉질 호르몬 분비 촉진 |
GH | 뇌하수체 전엽 | 성장 촉진, 대사 조절 |
LH, FSH | 뇌하수체 전엽 | 생식샘 자극(배란, 정자 생성) |
PRL | 뇌하수체 전엽 | 유즙 분비 촉진 |
ADH(바소프레신) | 뇌하수체 후엽 | 항이뇨 작용(수분 재흡수) |
옥시토신 | 뇌하수체 후엽 | 자궁 수축, 모유 분비 촉진 |
T3, T4 | 갑상샘 | 대사 증가 |
칼시토닌 | 갑상샘 | 혈중 칼슘 감소 |
PTH | 부갑상샘 | 혈중 칼슘 증가 |
코르티솔 | 부신겉질 | 스트레스 반응, 혈당 조절 |
알도스테론 | 부신겉질 | 나트륨·칼륨 조절 |
에피네프린 | 부신속질 | 심박수 증가, 대사 촉진 |
인슐린 | 췌장 | 혈당 감소 |
글루카곤 | 췌장 | 혈당 증가 |
멜라토닌 | 송과샘 | 생체 리듬 조절 |
테스토스테론 | 고환 | 남성 2차 성징 조절 |
에스트로겐 | 난소 | 여성 2차 성징 조절 |
프로게스테론 | 난소 | 임신 유지 |
3. 내분비계 이상 질환
- 당뇨병(Diabetes Mellitus): 인슐린 분비 부족(1형) 또는 저항성 증가(2형).
-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 코르티솔 과다 분비.
- 애디슨병(Addison’s disease): 부신겉질 호르몬 부족.
- 갑상샘기능항진증(Graves' disease): 갑상샘 호르몬 과다 분비.
- 갑상샘기능저하증(Hashimoto’s thyroiditis): 갑상샘 호르몬 부족.
- 거인증(Gigantism), 말단비대증(Acromegaly): GH 과다 분비.
- 소인증(Dwarfism): GH 부족.
이처럼 내분비계는 인체 항상성을 유지하는 핵심적인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관과 호르몬이 유기적으로 작용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