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악성 종양(Malignant Tumor)
악성 종양(malignant tumor)은 신체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며, 주변 조직을 침범하고 전이(metastasis)를 일으키는 종양을 의미합니다. 악성 종양은 암(cancer)이라고도 불리며,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1. 악성 종양의 특징
- 무한 증식(Uncontrolled Growth)
- 정상 세포는 세포 주기(cell cycle) 조절 기전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분열하지만, 악성 종양은 이러한 조절을 받지 않고 계속 증식합니다.
- 침윤(Invasion)과 전이(Metastasis)
- 악성 종양은 주변 조직을 침범하며, 혈관이나 림프계를 통해 다른 장기로 퍼질 수 있습니다.
- 비정상적인 세포 구조(Atypical Cell Structure)
- 핵이 크고 염색질이 조밀하며, 세포 분열이 활발한 특징이 있습니다.
- 혈관신생(Angiogenesis) 유도
- 종양은 스스로 혈관을 생성하여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합니다.
- 세포 사멸(Apoptosis) 회피
- 정상 세포는 손상이 심하면 세포 자살(Apoptosis)이 유도되지만, 악성 종양은 이를 회피하는 능력을 가집니다.
2. 악성 종양의 원인
악성 종양의 발생은 다양한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1) 유전적 요인
-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의 돌연변이 (예: p53, Rb)
- 원종양유전자(Proto-oncogene)의 활성화 (예: Ras, Myc)
- DNA 복구 유전자의 돌연변이 (예: BRCA1, BRCA2)
2) 환경적 요인
- 발암물질(Carcinogen) 노출 (예: 담배 연기, 석면, 방사선, 자외선)
- 바이러스 감염 (예: 인유두종바이러스(HPV), B형/C형 간염 바이러스(HBV/HC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 만성 염증 (예: 만성 위염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 위암 유발)
- 생활습관 (과도한 음주, 고지방·고탄수화물 식단, 비만, 운동 부족)
3. 악성 종양의 분류
악성 종양은 원발 부위와 조직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1) 조직학적 분류
- 상피성 암종(Carcinoma): 피부,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생식기계 등에서 기원
- 예) 폐암, 유방암, 위암, 대장암, 간암
- 육종(Sarcoma): 근육, 뼈, 연골, 지방 등 결합조직에서 기원
- 예) 골육종(osteosarcoma), 지방육종(liposarcoma)
- 혈액암(Hematologic Malignancies): 혈액 세포에서 기원
- 예) 백혈병(leukemia), 림프종(lymphoma), 다발성 골수종(myeloma)
- 신경계 종양(Neuroectodermal Tumor): 신경 조직에서 기원
- 예)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교모세포종(glioblastoma)
2) 병리학적 등급(Grade) 및 진행단계(Stage)
- 분화도(Grade): 종양 세포의 정상 세포와 유사한 정도
- 고분화(Well-differentiated): 정상 세포와 유사, 성장 속도 느림
- 저분화(Poorly differentiated): 정상 세포와 매우 다름, 빠르게 증식
- 암 진행단계(Stage)
- TNM 분류법(Tumor-Node-Metastasis)
- T (종양 크기): T1~T4
- N (림프절 전이): N0~N3
- M (원격 전이 여부): M0(전이 없음), M1(전이 있음)
- TNM 분류법(Tumor-Node-Metastasis)
4. 악성 종양의 진단 방법
1) 영상 검사
- X-ray, CT, MRI, PET-CT를 이용하여 종양의 크기 및 전이 여부 평가
2) 조직 검사(Biopsy)
- 종양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암세포 확인
- 면역조직화학염색(IHC) 검사로 특정 단백질 발현 평가
3) 혈액 검사
- 종양표지자(Tumor markers) 검사
- 예) AFP(간암), CEA(대장암), CA-125(난소암), PSA(전립선암)
4) 유전자 검사
- BRCA1/BRCA2 돌연변이(유방암, 난소암 위험 평가)
- EGFR, KRAS, HER2 등 표적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 변이 확인
5. 악성 종양의 치료 방법
1) 외과적 절제(Surgical Resection)
- 종양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 조기 발견 시 완치 가능성이 높음
2)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 고에너지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파괴
- 국소적인 종양 치료에 효과적
3)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
- 세포 독성을 가진 약물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사멸
- 전신적인 치료가 가능하나 부작용(탈모, 면역력 저하 등)이 있음
4) 표적 치료(Targeted Therapy)
- 특정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사용
- 예) HER2 양성 유방암 - 트라스투주맙(허셉틴), EGFR 변이 폐암 - 오시머티닙(타그리소)
5) 면역 치료(Immunotherapy)
-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
- PD-1/PD-L1 억제제(예: 키트루다, 옵디보)
6. 예후 및 예방
1) 예후(Progression & Prognosis)
- 종양의 종류, 병기, 치료 반응에 따라 생존율이 달라짐
- 예) 초기 폐암(1기) 5년 생존율: 약 60~80%
- 말기 폐암(4기) 5년 생존율: 약 5~10%
2) 예방 방법
- 금연, 금주
- 건강한 식습관 (야채, 과일, 섬유소 섭취 증가)
- 규칙적인 운동
- 예방적 백신 접종 (예: HPV 백신, B형 간염 백신)
- 정기 건강검진
결론
악성 종양은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며, 예방 가능한 요소를 피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