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수(Spinal cord)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의 일부로, 뇌(brain)와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를 연결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척수는 척추(vertebral column) 내부의 척추관(vertebral canal)에 위치하며, 여러 개의 척수신경(spinal nerve)이 분지하여 신체의 각 부위로 감각 및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척수의 해부학적 구조
1) 척수의 길이와 위치
- 성인의 척수는 평균적으로 약 40~45cm 길이이며, 지름은 1~1.5cm 정도입니다.
- 대개 연수(medulla oblongata)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L1~L2 정도에서 종말을 이루며, 그 아래로는 말총(cauda equina) 이라는 신경 다발이 존재합니다.
2) 척수의 분절(Spinal Segments)
척수는 총 31개의 분절(segment)로 나뉘며, 각 분절에서 좌우 한 쌍의 척수신경(spinal nerve)이 나옵니다.
- 경수(Cervical) - 8개 (C1~C8)
- 흉수(Thoracic) - 12개 (T1~T12)
- 요수(Lumbar) - 5개 (L1~L5)
- 천수(Sacral) - 5개 (S1~S5)
- 미수(Coccygeal) - 1개 (Co1)
3) 척수의 굵기 변화
척수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으며, 두 군데에서 확장되어 있습니다.
- 경부팽대(Cervical Enlargement, C4~T1): 상지(팔)로 가는 신경이 기원
- 요부팽대(Lumbar Enlargement, L1~S3): 하지(다리)로 가는 신경이 기원
2. 척수의 단면 구조
1) 회색질(Gray Matter)과 백색질(White Matter)
- 회색질(GM, Gray Matter): 나비 모양의 구조로 척수의 중심에 위치하며, 신경세포체(neuron cell body)들이 밀집
- 백색질(WM, White Matter): 회색질을 둘러싸며, 수초(myelin)로 덮인 신경 섬유(axon)들이 존재
2) 회색질의 구조
회색질은 기능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 뒤뿔(Posterior horn, Dorsal horn): 감각 신경(sensory neuron)이 들어오는 부위
- 앞뿔(Anterior horn, Ventral horn): 운동 신경(motor neuron)이 나가는 부위
- 가쪽뿔(Lateral horn): 자율신경계(ANS) 관련 뉴런이 위치 (T1~L2 및 S2~S4)
3) 백색질의 구조
백색질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신경전도로(tracts)가 포함됩니다.
- 뒤기둥(Dorsal column): 감각 정보(진동, 위치감각, 촉각) 전달
- 가쪽기둥(Lateral column): 운동 및 감각 전달 (피질척수로, 척수시상로 등)
- 앞기둥(Anterior column): 주로 운동 명령 전달
3. 척수의 주요 신경로(Tracts)
척수에는 상행로(감각)와 하행로(운동)가 있습니다.
1) 상행로(Ascending Tracts, 감각)
- 척수시상로(Spinothalamic tract): 온도, 통증 전달
- 등쪽척수소뇌로(Dorsal Spinocerebellar tract): 무의식적 고유감각(proprioception)
- 척수시각로(Spinotectal tract): 시각-척수 반사 조절
2) 하행로(Descending Tracts, 운동)
-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수의운동(voluntary movement) 조절
- 적척수로(Rubrospinal tract): 근육 조정
- 전정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 평형 및 자세 유지
4. 척수의 기능
- 감각 정보 전달: 외부 환경(온도, 통증, 촉각 등)의 정보를 뇌로 전달
- 운동 명령 전달: 대뇌에서 내려온 운동 신호를 신체 근육으로 전달
- 반사 조절: 척수 반사(예: 무릎반사, 배변 조절 등) 수행
5. 임상적 중요성
-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SCI)
- 손상 부위에 따라 사지마비(Quadriplegia), 하지마비(Paraplegia) 등이 발생
- C3 이상 손상 시 호흡근(횡격막) 마비로 호흡 불가
- 척수병증(Myelopathy)
- 퇴행성 변화나 압박으로 척수 기능 저하
- 증상: 근력 저하, 감각 이상, 반사 과항진
- 척수염(Myelitis)
- 감염 또는 면역 이상으로 척수 염증 발생
- 다발성 경화증(MS)과 연관
척수는 신체의 감각, 운동, 자율 기능을 조절하는 핵심 구조이므로, 손상 시 심각한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