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뇌교(Pons)
뇌교(橋, Pons)는 뇌간(Brainstem)의 한 부분으로, 중간뇌(Midbrain)와 연수(Medulla Oblongata) 사이에 위치한다. 뇌교는 신경로의 집합체로서 대뇌와 소뇌, 척수를 연결하며, 운동 및 감각 조절, 소뇌 조정, 호흡 조절, 안면 감각 및 움직임 조절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1. 뇌교의 해부학적 구조
뇌교는 크게 배측부(등쪽, Tegmentum)와 기저부(배쪽, Basilar Pons)로 구분된다.
1) 기저부(Basilar Pons)
- 뇌교의 전면(ventral part) 부분
- 대뇌에서 내려오는 수의운동 신호를 소뇌와 척수로 전달하는 중요한 중계 역할
- 주요 구조:
- 종주섬유(Longitudinal fibers): 대뇌에서 척수로 내려가는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포함
- 횡주섬유(Transverse fibers): 대뇌와 소뇌를 연결하는 피질소뇌로(corticopontocerebellar tract) 포함
- 뇌교핵(Pontine nuclei): 운동 명령을 조정하여 소뇌로 전달
2) 배측부(Tegmentum)
- 뇌교의 등쪽(dorsal part) 부분
- 뇌신경핵, 감각 및 운동 조절 경로, 망상체(Reticular formation) 포함
- 주요 구조:
- 뇌신경핵(Cranial nerve nuclei)
- 삼차신경(V, Trigeminal nerve)핵 → 얼굴 감각 및 저작 운동 조절
- 외전신경(VI, Abducens nerve)핵 → 외안근(가쪽직근, Lateral rectus) 조절
- 안면신경(VII, Facial nerve)핵 → 얼굴 근육 움직임 조절
- 전정와우신경(VIII, Vestibulocochlear nerve)핵 → 평형 및 청각 정보 전달
- 중심부 신경로
- 내측세로다발(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MLF) → 안구 운동 조절 및 전정-안구 반사 조정
- 척수시상로(Spinothalamic tract) → 온도 및 통각 감각 전달
- 망상체(Reticular formation) → 각성 및 수면 조절
- 뇌신경핵(Cranial nerve nuclei)
2. 뇌교의 기능
1) 운동 및 감각 신호 전달
- 대뇌와 소뇌, 척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신경전달 중계 역할
-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와 피질소뇌로(Corticopontocerebellar tract)를 통해 운동 조절
2) 뇌신경 기능 조절
- 삼차신경(V) → 얼굴 감각 및 저작
- 외전신경(VI) → 안구 외측 움직임
- 안면신경(VII) → 얼굴 근육 조절
- 전정와우신경(VIII) → 청각 및 평형 감각 조절
3) 소뇌 조절 기능
- 뇌교핵을 통해 소뇌로 운동 명령을 전달하여 운동 조정
4) 호흡 조절
- 호흡중추(Pontine Respiratory Centers)
- 펠시켄트 중심(Pneumotaxic center) → 흡기 억제, 호흡 속도 조절
- 무호흡 중심(Apneustic center) → 흡기 지속, 심호흡 촉진
3. 뇌교 손상과 관련된 질환
1) 락운 뇌졸중(Lacunar Stroke in Pons)
-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손상 → 대측성 반신마비(hemiparesis) 발생
2) 밀라드-굽틀러 증후군(Millard-Gubler Syndrome)
- 뇌교 손상으로 동안신경(VI) 및 안면신경(VII) 마비 발생
- 특징: 동측 안면마비 + 대측 반신마비
3) 록트인 증후군(Locked-in Syndrome)
- 뇌교 기저부 손상으로 운동 마비 발생, 의식은 유지되지만 움직일 수 없음
4. 요약
뇌교(Pons)는 뇌간(Brainstem)의 일부로, 운동 및 감각 신호 중계, 소뇌 조정, 뇌신경 조절, 호흡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구조: 기저부(Basilar Pons)와 배측부(Tegmentum)
뇌교핵(Pontine nuclei) → 운동 신호를 소뇌로 전달
뇌신경핵(V, VI, VII, VIII번 뇌신경) 포함 → 얼굴 감각 및 운동, 안구 운동, 청각 및 평형 조절
펠시켄트 중심(Pneumotaxic center)과 무호흡 중심(Apneustic center) → 호흡 조절 담당
뇌교 손상 시 안면마비, 반신마비, 호흡 장애 등이 발생 가능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