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시상상부 (Epithalamus)
1. 개요
시상상부(Epithalamus)는 간뇌(Diencephalon)의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구조로, 송과체(Pineal gland), 고삽체(Habenular nucleus), 뇌줄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 구조는 멜라토닌 분비, 생체리듬 조절, 감정 및 동기 조절과 관련이 있습니다.
위치
- 시상의 위쪽, 제3뇌실(Third ventricle) 뒤쪽에 위치.
- 중뇌(Midbrain)와 연결되며, 특히 후구(Posterior commissure)와 가까운 위치에 있음.
기능
- 송과체(Pineal gland) → 멜라토닌 분비, 수면 조절
- 고삽체(Habenular nucleus) → 감정, 동기 부여, 도파민 및 세로토닌 조절
- 뇌줄기 연결부(Posterior commissure) → 시각 반사 조절
2. 시상상부의 주요 구조 및 기능
1) 송과체 (Pineal Gland)
위치
- 간뇌의 중앙, 제3뇌실 뒤쪽에 위치.
- 후구(Posterior commissure) 바로 위에 존재.
기능
- 멜라토닌(Melatonin) 분비 → 생체리듬 조절 (Circadian rhythm) 및 수면 조절
- 빛에 반응하여 작용
- 낮(광원 자극 시) → 멜라토닌 분비 억제 → 각성 증가
- 밤(어두울 때) → 멜라토닌 분비 증가 → 졸음 유도
연결 구조
- 시각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us, SCN)과 연결 → 광주기 조절
-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Serotonin) → 멜라토닌 변환
임상적 중요성
- 송과체 종양 → 수면장애, 성조숙증, 생체리듬 이상
- 멜라토닌 부족 → 불면증, 수면 장애
2) 고삽체 (Habenular Nucleus)
위치
- 시상상부의 중심부, 송과체 앞쪽에 위치
- 대뇌변연계(Limbic system) 및 중뇌와 연결
기능
- 감정 조절 및 동기 부여 → 보상 시스템과 관련
- 도파민(Dopamine) 및 세로토닌(Serotonin) 조절 → 우울증 및 중독과 연관
- 후각, 통증, 스트레스 조절 기능
연결 구조
- 변연계(Limbic system) → 감정 조절
- 중뇌 도파민 시스템 → 동기 및 보상 조절
임상적 중요성
- 고삽체 기능 이상 → 우울증, 불안장애, 중독 행동 증가
- 도파민 조절 장애 → 강박 행동, 사회적 회피
3) 뇌줄기 연결부 (Posterior Commissure)
위치
- 송과체 아래쪽, 중뇌 상부와 연결
- 시각 반사 경로와 관련
기능
- 동공 반사 조절 (광반사)
- 안구 운동 조절
임상적 중요성
- 후구 손상 → 동공 반사 이상, 안구 운동 장애
- 부르낙케 증후군 (Parinaud's syndrome) → 상방 주시 장애
3. 시상상부와 관련된 임상적 문제
1) 송과체 종양 (Pineal Tumor)
- 멜라토닌 분비 이상 → 불면증, 생체 리듬 장애
- 시각 장애 → 종양이 후구(Posterior commissure)를 압박하면 동공 반사 이상 발생
2) 우울증 및 감정 조절 장애
- 고삽체 기능 저하 → 도파민, 세로토닌 조절 이상
- 우울증, 불안 장애, 중독 위험 증가
3) Parinaud 증후군 (Parinaud's Syndrome)
- 후구(Posterior commissure) 손상 → 상방 주시 장애, 동공 반사 이상
- 원인: 종양, 출혈, 감염 등
4. 결론
시상상부(Epithalamus)는 멜라토닌 분비, 생체리듬 조절, 감정 및 동기 부여, 시각 반사 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송과체 → 수면 및 생체리듬 조절
- 고삽체 → 감정 및 동기 부여 조절
- 뇌줄기 연결부 → 동공 반사 및 안구 운동 조절
이러한 기능이 손상될 경우 수면 장애, 감정 장애, 시각 반사 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