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순환(Hepatic Circulation)
간순환은 간(간세포, 간소엽)에 혈액을 공급하고, 영양분 대사와 해독을 담당하는 혈액순환 과정입니다.
특히 간은 이중 혈액 공급 시스템(Dual Blood Supply System)을 가지며, 문맥계(Portal System)와 간동맥계(Arterial System)가 함께 작용합니다.
1. 간순환의 해부학적 구조
간은 다음 두 가지 주요 혈관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습니다.
(1) 문맥계(Portal Venous System, 75~80%)
문맥(Portal Vein, PV)을 통해 혈액의 75~80%를 공급받음
소화관(위, 소장, 대장), 비장, 췌장에서 흡수된 영양분이 간으로 유입됨
산소 농도는 낮지만 영양분이 풍부
문맥 형성 과정
- 비장정맥(Splenic Vein) + 상장간정맥(Superior Mesenteric Vein) → 문맥(Portal Vein) 형성
- 하장간정맥(Inferior Mesenteric Vein)도 간접적으로 문맥으로 합류
문맥은 소화된 영양소뿐만 아니라 독성 물질도 함께 운반
- 간에서 해독 후 전신 순환으로 이동
(2) 간동맥계(Hepatic Arterial System, 20~25%)
간동맥(Hepatic Artery, HA)을 통해 혈액의 20~25%를 공급받음
산소 농도가 높아 간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
간동맥의 분지
- 복부대동맥(Abdominal Aorta) → 복강동맥(Celiac Artery) → 간동맥(Hepatic Artery)
(3) 간 내 혈류 경로 (Liver Sinusoidal System)
문맥과 간동맥의 혈액이 간소엽(Liver Lobule) 내에서 혼합
간소엽 중심부(중심정맥, Central Vein)로 혈액이 이동
중심정맥 → 간정맥(Hepatic Vein) → 하대정맥(IVC)으로 전신 순환
간세포에서 대사, 해독, 저장 작용이 이루어진 후 전신으로 배출
2. 간의 혈류 조절 기전
간은 다양한 기전으로 혈류를 조절합니다.
(1) 자율신경계 조절 (Autonomic Regulation)
- 교감신경 활성화(스트레스, 출혈 시) → 간동맥 수축 → 혈류 감소
- 부교감신경 활성화(소화 시) → 간동맥 확장 → 혈류 증가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간혈류 감소 → 간 기능 저하 가능
(2) 문맥압 조절 (Portal Pressure Regulation)
간은 문맥압(Portal Pressure)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음
문맥압이 상승하면 문맥순환 장애(문맥고혈압, Portal Hypertension) 발생
문맥고혈압(Portal Hypertension) 원인
- 간경화(Cirrhosis)로 인해 간 혈관이 섬유화 → 혈류 저항 증가 → 문맥압 상승
- 문맥압 상승 시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ces) 발생 위험
(3) 쿠퍼세포(Kupffer Cells) 작용
간 내 혈류 조절 및 면역 역할 수행
쿠퍼세포는 문맥 혈류 내 세균, 독소 제거
패혈증(Sepsis)에서 간이 중요한 이유
- 쿠퍼세포가 혈액 내 세균을 제거하여 전신 감염을 예방
3. 간순환과 관련된 질환
(1) 간경화(Cirrhosis)
만성적인 간 손상으로 인해 간 조직이 섬유화되는 질환
혈관 저항 증가 → 문맥고혈압 발생 → 전신적인 합병증 유발
주요 증상
- 복수(Ascites): 복강 내 체액 축적
-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ces): 출혈 위험
- 간성뇌증(Hepatic Encephalopathy): 독소(암모니아) 제거 장애로 의식 변화
(2) 문맥고혈압(Portal Hypertension)
문맥의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상태
간경화가 가장 흔한 원인
주요 합병증
- 비장비대(Splenomegaly): 비장 정맥 혈류 정체로 비장 커짐
- 식도정맥류 출혈: 고위험 상태, 응급 치료 필요
치료법
- 베타 차단제(β-blockers)로 문맥압 감소
- 식도정맥류 결찰술(Endoscopic Band Ligation, EBL) 시행
(3) 간부전(Hepatic Failure)
간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
원인: 급성간염, 독성물질(약물, 알코올)
주요 증상
- 황달(Jaundice): 빌리루빈 대사 장애
- 출혈 경향: 응고인자 부족
- 간성뇌증: 암모니아 대사 장애로 의식 저하
치료법
- 간이식(심한 경우)
- 락툴로오스(Lactulose) 투여 → 암모니아 배출 촉진
4. 결론
간은 문맥과 간동맥의 이중 혈류 공급을 받으며, 혈액 내 독소를 해독하는 중요한 장기
간경화, 문맥고혈압, 간부전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
건강한 간을 위해 알코올, 지방간 예방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