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기저핵(Basal Ganglia)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2. 8. 19:38
728x90
반응형
SMALL

기저핵(Basal Ganglia)

1. 기저핵(Basal Ganglia) 개요

기저핵은 대뇌피질 아래 깊은 곳에 위치한 회백질(Grey Matter) 덩어리로,
주로 운동 조절, 학습, 인지 기능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경핵(Nuclei)입니다.

주요 역할
운동 조절: 원활한 움직임 조정, 불필요한 움직임 억제
운동 학습: 습관적 운동 패턴 형성 (예: 자전거 타기)
인지 및 감정 조절: 보상 시스템, 동기 부여


2. 기저핵의 주요 구조

기저핵은 여러 개의 신경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기능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운동 및 행동 조절을 담당합니다.

(1) 기저핵의 구성 요소

기저핵을 구성하는 주요 구조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저핵 구성 요소                                    한글 명칭                    위치 및 기능

선조체(Striatum) 줄무늬체 운동 조절의 중심 역할
미상핵(Caudate Nucleus) 꼬리핵 인지 기능, 행동 조절
피각(Putamen) 피각 운동 실행 및 학습
담창구(Globus Pallidus, GP) 창백핵 운동 억제 및 조절
중뇌 흑질(Substantia Nigra, SN) 흑질 도파민 분비, 운동 조절
시상하핵(Subthalamic Nucleus, STN) 시상하핵 운동 조절 신호 조정

3. 기저핵의 기능 및 역할

(1) 운동 조절 (운동 활성화 및 억제 조절)

기저핵은 운동을 적절히 활성화하거나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직접 경로(Direct Pathway)’와 ‘간접 경로(Indirect Pathway)’를 통해 조절됩니다.

① 직접 경로 (운동 촉진 경로)

운동을 활성화하여 몸을 움직이도록 함
대뇌피질 → 선조체(미상핵 & 피각) → 담창구 내측(GPi) → 시상(Thalamus) → 대뇌피질 → 운동 실행
도파민(Dopamine)은 이 경로를 활성화하여 운동을 촉진함

② 간접 경로 (운동 억제 경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하여 원활한 운동을 유지
대뇌피질 → 선조체 → 담창구 외측(GPe) → 시상하핵(STN) → 담창구 내측(GPi) → 시상 → 대뇌피질
도파민은 이 경로를 억제하여 과도한 운동 억제를 방지

즉, 기저핵은 적절한 움직임이 실행되도록 하고, 불필요한 움직임은 억제하는 균형을 조절합니다.


(2) 운동 학습 및 습관 형성

기저핵은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운동 기억(Motor Memory)과 습관(Habit Formation)을 형성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활성화됨 (예: 피아노 연주, 글씨 쓰기)
운동이 자동화되면 대뇌피질의 개입이 줄어들고 기저핵이 주로 담당


(3) 보상 시스템 및 동기 부여

기저핵은 보상(Reinforcement)과 동기 부여(Motivation)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파민(Dopamine)을 분비하는 흑질(Substantia Nigra)과 측좌핵(Nucleus Accumbens)이 관여
즐거운 경험(예: 맛있는 음식, 음악 감상 등)이 반복되면 보상 회로가 강화됨
중독(Drug Addiction)과 관련 (예: 도파민 분비 증가 → 보상 회로 과활성 → 중독 형성)


4. 기저핵과 관련된 신경계 질환

기저핵이 손상되면 운동 조절과 행동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원인: 흑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뉴런 손실
  • 증상: 근육 강직, 운동 느려짐(서동증), 손 떨림(진전)
  • 치료: 도파민 보충제(레보도파, L-Dopa) 사용

(2)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 원인: 선조체(Striatum, 특히 미상핵)의 뉴런 손실
  • 증상: 불수의적 운동(무도병, Chorea), 인지 장애
  • 유전성 질환: 헌팅틴(HTT)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

(3) 근긴장이상증(Dystonia)

  • 원인: 기저핵의 운동 조절 기능 이상
  • 증상: 특정 근육의 지속적 수축으로 비정상적인 자세 유지

(4) 투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

  • 원인: 기저핵과 도파민 과활성
  • 증상: 반복적인 틱(Tic), 불수의적 움직임과 소리

5. 결론

기저핵은 운동 조절, 운동 학습, 보상 시스템에 핵심 역할
직접 경로 → 운동 촉진 / 간접 경로 → 운동 억제 → 균형 유지
도파민이 중요한 조절 역할 (부족하면 파킨슨병, 과하면 헌팅턴병 관련)
보상 회로(도파민) → 동기 부여 및 중독과 관련

기저핵의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어야 원활한 운동과 행동 조절이 가능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