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의 기능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2. 7. 17:42
728x90
반응형
SMALL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의 기능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은 인지, 감각, 운동, 언어, 감정, 기억 등 인간의 고등 정신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 두께: 약 2~4mm
  • 구성: 신경세포체(회백질, Grey Matter)로 이루어짐
  • 특징: 복잡한 주름(이랑, Gyrus)과 홈(고랑, Sulcus)이 있어 표면적이 증가 → 정보 처리 능력 향상

대뇌피질의 기능은 크게 운동 기능, 감각 기능, 연합 기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영역이 협력하여 인간의 고유한 인지 능력을 발휘합니다.


1. 대뇌피질의 주요 기능적 영역

대뇌피질은 운동 영역, 감각 영역, 연합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은 특정 기능을 담당합니다.

(1) 운동 영역(Motor Areas) – 수의적 운동 조절

운동 영역은 신체의 수의적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영역                                                   위치                                                기능

일차운동겉질(Primary Motor Cortex, M1) 전두엽 중심앞이랑(Precentral Gyrus) 신체 근육의 수의적 운동 조절
보조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SMA) 일차운동겉질 앞쪽 복잡한 운동 계획 및 조정
운동연합영역(Premotor Cortex) 일차운동겉질 앞쪽 운동 학습 및 준비

 

운동 호문쿨루스(Motor Homunculus)

  • 신체 부위별로 대뇌피질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다름
  • 손, 입, 얼굴 부위가 가장 넓은 영역 차지 (정교한 움직임 필요)

(2) 감각 영역(Sensory Areas) – 감각 정보 처리

감각 영역은 촉각, 온도, 통증, 시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합니다.

영역                                                      위치                                        기능

일차체감각겉질(Primary Somatosensory Cortex, S1) 두정엽 중심뒤이랑(Postcentral Gyrus) 촉각, 통증, 온도, 압력 감각 처리
일차시각겉질(Primary Visual Cortex, V1) 후두엽 시각 정보 처리
일차청각겉질(Primary Auditory Cortex) 측두엽 청각 정보 처리
일차미각겉질(Primary Gustatory Cortex) 두정엽 미각 정보 처리
일차후각겉질(Primary Olfactory Cortex) 측두엽(변연계) 후각 정보 처리

 

감각 호문쿨루스(Sensory Homunculus)

  • 신체의 감각 민감도에 따라 감각 피질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다름
  • 손, 입술, 얼굴이 가장 넓은 영역 차지 (섬세한 감각 필요)

(3) 연합 영역(Association Areas) – 고등 인지 기능

연합 영역은 감각 정보를 통합하여 사고, 판단, 언어, 기억 등의 복잡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영역                                                               위치                   기능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전두엽 고등 인지 기능(판단, 계획, 감정 조절, 사회성)
체감각연합영역(Somatosensory Association Area) 두정엽 감각 정보 통합 및 해석
시각연합영역(Visual Association Area) 후두엽 시각 정보 분석(색, 형태, 움직임)
청각연합영역(Auditory Association Area) 측두엽 소리 해석 및 기억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 측두엽(좌반구) 언어 이해 및 해석

 

전전두엽 손상 시 증상

  • 충동적 행동, 판단력 저하
  • 사회적 부적응, 감정 조절 장애

2. 대뇌피질의 기능적 분업

(1) 대뇌반구의 역할 분담

대뇌는 좌반구와 우반구로 나뉘며, 각 반구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기능                   좌반구(Left Hemisphere)                    우반구(Right Hemisphere)

언어 브로카 영역(말하기), 베르니케 영역(이해) 비언어적 의사소통(표정, 몸짓)
논리적 사고 수학, 분석적 사고 직관적 사고, 창의성
운동 조절 신체 오른쪽 조절 신체 왼쪽 조절

 

좌반구(Left Hemisphere)

  • 언어, 수학, 논리적 사고 담당
    우반구(Right Hemisphere)
  • 공간 인지, 창의성, 감정 해석 담당

(2) 언어 기능(Language Processing)

언어 기능은 주로 좌반구에서 담당합니다.

영역                                                                     위치                             기능

브로카 영역(Broca’s Area) 전두엽(좌반구) 언어 생성(말하기)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 측두엽(좌반구) 언어 이해

 

손상 시 증상

  • 브로카 영역 손상 → 말을 이해하지만 말을 유창하게 못함 (실어증)
  • 베르니케 영역 손상 → 말은 하지만 뜻을 알 수 없음

3. 대뇌피질의 주요 신경회로

(1) 운동 회로 (Motor Circuit)

  • 일차운동겉질(M1) → 척수 → 근육으로 신호 전달 → 수의적 운동 수행

(2) 감각 회로 (Sensory Circuit)

  • 감각기관 → 시상(Thalamus) → 일차감각겉질 → 감각 연합 영역 → 해석

(3) 언어 회로 (Language Circuit)

  • 베르니케 영역(이해) ↔ 브로카 영역(생성) ↔ 일차운동겉질(발음)

(4) 기억 및 감정 회로 (Memory & Emotion Circuit)

  • 감각 정보 → 해마(Hippocampus) → 기억 저장(측두엽)
  • 감정 정보 → 편도체(Amygdala) → 공포, 분노, 기쁨 조절

4. 대뇌피질과 신경전달물질

대뇌피질의 기능은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조절됩니다.

 

신경전달물질                                               기능

아세틸콜린(ACh) 학습, 기억, 운동 조절
도파민(Dopamine) 운동 조절, 보상, 동기 부여
세로토닌(Serotonin) 감정 조절, 수면, 식욕
GABA(γ-아미노부티르산) 신경 억제, 안정화

결론

1. 대뇌피질 = 6층 구조 → 운동, 감각, 인지 기능 수행
2. 운동(전두엽), 감각(두정·측두·후두엽), 연합(고등 인지 기능) → 협력 작용
3. 전전두엽 손상 → 감정 조절 장애, 충동적 행동 증가
4. 좌반구(언어, 논리) vs 우반구(창의성, 감정 해석) 역할 분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