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2. 7. 16:49
728x90
반응형
SMALL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말초신경계(PNS)는 중추신경계(CNS)인 뇌(brain)와 척수(spinal cord) 외부에서 신체의 다양한 기관과 연결된 신경들의 집합입니다. 말초신경계는 감각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중추신경계에서 내려온 명령을 효과기(근육, 분비샘 등)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1. 말초신경계의 구성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 SNS)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로 나뉩니다.

(1)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

  • 의식적으로 조절 가능한 신경계
  • 감각신경(Sensory nerve, afferent nerve): 피부, 근육, 관절에서 감각 정보를 수집하여 중추신경계로 전달
  • 운동신경(Motor nerve, efferent nerve): 중추신경계에서 근육으로 신호를 보내어 수의적 운동을 조절

(2)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 의식적인 조절 없이 작동하는 신경계(무의식적 조절)
  • 심장, 내장기관, 혈관, 분비샘 등의 기능을 조절
  •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과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으로 구분됨

2. 말초신경계의 신경 종류

말초신경계는 뇌신경(cranial nerves)과 척수신경(spinal nerves)으로 구분됩니다.

(1) 뇌신경(Cranial Nerves)

  • 뇌에서 직접 나오는 12쌍(총 24개의 신경)
  • 주로 머리와 목의 감각 및 운동을 담당
  • 일부 뇌신경은 자율신경 기능(예: 미주신경)을 포함

번호       신경명                                                   주요 기능

후각신경(Olfactory) 후각 감각 (냄새)
시신경(Optic) 시각 정보 전달
동안신경(Oculomotor) 눈 움직임, 동공 반응
활차신경(Trochlear) 눈의 상사근 운동
삼차신경(Trigeminal) 얼굴 감각, 저작근 조절
외전신경(Abducens) 눈의 외측 운동
안면신경(Facial) 얼굴 근육, 미각(전방 2/3)
전정와우신경(Vestibulocochlear) 청각, 평형 감각
설인신경(Glossopharyngeal) 인두 감각, 미각(후방 1/3)
미주신경(Vagus) 내장기관의 감각 및 운동 조절
부신경(Accessory) 어깨와 목 근육 조절
설하신경(Hypoglossal) 혀 근육 조절

(2) 척수신경(Spinal Nerves)

  • 척수에서 나오는 31쌍(총 62개의 신경)
  •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신경
  • 몸의 나머지 부분(사지, 몸통)의 감각 및 운동을 담당

신경분류                                                                 개수                        담당 부위

경신경(Cervical nerves) 8쌍 목, 어깨, 팔
흉신경(Thoracic nerves) 12쌍 가슴, 복부
요신경(Lumbar nerves) 5쌍 허리, 다리
천골신경(Sacral nerves) 5쌍 골반, 다리
미골신경(Coccygeal nerve) 1쌍 꼬리뼈

3.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의 기능

체성신경계는 수의적 움직임을 조절하며,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나뉩니다.

  • 감각신경(Afferent fibers):
    피부, 근육, 관절에서 오는 정보를 중추신경계(CNS)로 전달
  • 운동신경(Efferent fibers):
    중추신경계에서 골격근으로 신호를 보내 움직임을 유발

(1) 척수반사(Spinal Reflex)

  • 중추신경계를 거치지 않고 척수에서 바로 반응하는 빠른 반사 반응
  • 예: 무릎반사(knee jerk reflex), 뜨거운 물체를 만졌을 때 손을 재빨리 빼는 반응

4.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의 기능

자율신경계는 의식적 조절 없이 내장기관과 혈관을 조절하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뉩니다.

(1)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

  • "투쟁-도피 반응(Fight or Flight)"을 유발하는 신경
  • 위급 상황에서 신체를 활성화시킴
  • 기능:
    • 심박수 증가
    • 혈압 상승
    • 동공 확대
    • 기관지 확장
    • 소화 억제

(2)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 "휴식-소화 반응(Rest and Digest)"을 유발하는 신경
  • 신체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고 에너지를 보존
  • 기능:
    • 심박수 감소
    • 혈압 감소
    • 동공 축소
    • 기관지 수축
    • 소화 촉진

(3) 장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

  •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의 독립적인 신경망
  • 소화 과정 조절

5. 말초신경계의 보호 기전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보다 보호 장치가 덜 발달되어 있으므로 손상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일부 보호 구조가 있습니다.

(1) 신경초(Schwann Sheath)

  • 슈반세포(Schwann cells)에 의해 형성된 절연층
  • 손상된 신경의 재생을 도울 수 있음

(2) 신경총(Nerve Plexus)

  • 여러 척수신경이 합쳐져 중요한 기관으로 가는 신경망을 형성
  • 예: 경신경총, 팔신경총, 요신경총, 천골신경총

결론

말초신경계(PNS)는 중추신경계와 신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통해 신체와 뇌를 연결하는 체성신경계와, 무의식적인 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교감신경, 부교감신경)로 구성됩니다. 이 신경들은 다양한 감각, 운동, 내장 기능을 조절하며, 뇌신경과 척수신경을 포함하여 몸 전체의 기능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