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신경계통 외상성 질환 (Traumatic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신경계통 외상성 질환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손상으로 인해 중추신경계(CNS: 뇌와 척수)와 말초신경계(PNS)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러한 질환은 사고, 낙상, 스포츠 손상, 폭발,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 유발되며, 신경계 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주요 신경계 외상성 질환의 분류
(1) 외상성 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TBI)
1) 정의
-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뇌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
2) 병리학적 분류
- 개방성 손상 (Open injury): 두개골이 열리고 뇌가 외부 환경에 노출.
- 폐쇄성 손상 (Closed injury): 두개골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
- 원발성 손상 (Primary injury): 충격 시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손상.
- 이차적 손상 (Secondary injury): 손상 후 시간이 지나며 발생하는 염증, 부종, 허혈 등.
3) 증상
- 경미한 TBI(뇌진탕): 두통, 어지럼증, 일시적 의식 소실.
- 중등도~중증 TBI:
- 의식 저하, 기억 상실.
- 경련(발작).
- 운동 및 감각 손상.
- 언어 장애.
4) 진단
- 신경학적 평가: 글래스고 혼수척도(GCS)를 통해 중증도 평가.
- 영상 검사:
- CT: 출혈, 부종 확인.
- MRI: 미세 손상 및 허혈성 병변 확인.
5) 치료
- 응급 치료:
- 기도 확보, 산소 공급.
- 두개내압 감소: 삼투성 이뇨제(만니톨), 뇌압 모니터링.
- 외과적 치료: 출혈 제거, 두개골 절제술.
- 재활 치료: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2) 외상성 척수손상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SCI)
1) 정의
- 척수에 물리적 손상이 발생하여 신경 신호 전달이 중단되는 상태.
2) 병리학적 분류
- 완전 손상 (Complete injury): 손상 부위 아래로 모든 운동 및 감각 기능 상실.
- 불완전 손상 (Incomplete injury): 손상 부위 아래로 일부 기능 보존.
3) 증상
- 손상 부위에 따른 증상:
- 경추 손상: 사지마비.
- 흉추 손상: 하반신 마비.
- 요추 손상: 하반신 감각 및 운동 부분적 장애.
- 자율신경계 이상:
- 저혈압, 방광/장 조절 장애.
4) 진단
- 영상 검사:
- MRI: 척수 압박, 부종 확인.
- CT: 골절 확인.
- 신경학적 검사: 아시아 척수손상 평가 척도(ISNCSCI).
5) 치료
- 응급 치료:
- 척수 안정화, 척추 정렬 유지.
- 스테로이드(메틸프레드니솔론): 염증 감소(현재는 논란 있음).
- 외과적 치료: 골절 교정, 압박 제거.
- 재활 치료: 물리치료, 전기 자극.
(3) 말초신경 손상 (Peripheral Nerve Injury)
1) 정의
- 외부 충격으로 말초신경의 축삭 또는 수초가 손상된 상태.
2) 병리학적 분류
- 뉴어프락시아 (Neuropraxia): 경미한 신경 압박, 일시적 기능 상실.
- 축삭절단 (Axonotmesis): 축삭 손상, 수초 보존.
- 신경절단 (Neurotmesis): 신경 완전 절단.
3) 증상
- 손상 부위에 따른 감각 이상, 운동 약화, 통증.
- 예: 팔꿈치 신경 손상 시 손가락 감각 이상, 약화.
4) 진단
- 신경전도검사(NCV): 신경 전도 속도 평가.
- 근전도검사(EMG): 근육 반응 평가.
5) 치료
- 비수술적 치료: 신경 재활, 물리치료.
- 수술적 치료: 신경 봉합, 이식.
(4) 두개신경 손상
- 외상으로 인해 뇌신경의 기능 장애가 발생.
- 예: 안면신경 손상 → 안면마비.
2. 외상성 신경계 손상의 병리기전
- 원발성 손상:
- 물리적 힘에 의해 신경 조직 직접 손상.
- 혈관 파열로 출혈 발생.
- 이차적 손상:
- 염증 반응: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 부종: 두개내압 증가로 인한 추가 손상.
- 허혈: 혈류 감소로 인한 신경세포 괴사.
3. 치료 및 재활 원칙
- 응급 관리: 생명 유지와 손상 최소화.
- 약물 치료: 염증 억제, 통증 관리.
- 재활 치료:
- 물리치료: 근력 회복, 관절 운동.
- 작업치료: 일상생활 동작 훈련.
- 언어치료: 언어 및 삼킴 장애 치료.
- 심리 지원: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4. 예방
- 안전 조치:
- 헬멧 착용, 안전벨트 사용.
- 건강 유지:
- 골다공증 예방(낙상 방지).
- 교육:
- 사고 예방을 위한 인식 제고.
5. 결론
신경계통 외상성 질환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생존자는 지속적인 재활과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