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빈맥-서맥 증후군 (Tachy-Brady Syndrome)
빈맥-서맥 증후군(Tachy-Brady Syndrome)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조율되면서 빈맥(빠른 심박수)과 서맥(느린 심박수)이 교대로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SSS)의 한 형태로 간주되며, 심박수 조절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1. 병태생리
- 심장의 동결절(SA Node) 기능이 손상되거나 조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빈맥과 서맥이 교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빈맥은 주로 심방성 부정맥(예: 심방세동, 심방조동)으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동결절이 억제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느려지는 서맥이 발생합니다.
- 서맥 상태에서는 심장이 적절한 박동수를 유지하지 못하여 혈액 공급 부족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납니다.
2. 원인
(1) 1차적 요인
- 동결절의 퇴행성 변화 또는 섬유화.
- 선천성 동결절 기능 이상.
- 관상동맥질환 및 심근경색.
(2) 2차적 요인
- 약물: 디곡신, 베타차단제, 칼슘채널 차단제, 항부정맥제.
- 전해질 불균형: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
- 미주신경 과활성화.
- 감염성 질환: 심근염, 심내막염.
- 심장 수술로 인한 동결절 손상.
(3) 기타
- 자율신경계 이상.
- 심방확장 또는 구조적 심장 질환.
3. 증상
증상은 빈맥과 서맥의 심각도와 발생 빈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1) 서맥과 관련된 증상
- 어지럼증, 현기증.
- 실신(실신 전 상태 포함).
- 피로감, 무기력.
- 심한 경우 심장 정지 가능성.
(2) 빈맥과 관련된 증상
- 가슴 두근거림.
- 가슴 압박감 또는 통증.
- 호흡곤란.
- 불안감 또는 공황 상태.
(3) 기타
- 운동 시 숨이 차거나 불편감(운동 불내성).
- 두통 또는 집중력 저하(특히 뇌로의 혈류 감소 시).
4. 진단
(1) 병력 청취
- 빈맥과 서맥의 증상이 교대로 나타난다는 환자의 호소.
- 실신, 어지럼증, 피로 등 서맥과 관련된 증상.
- 가슴 두근거림, 불안감 등 빈맥과 관련된 증상.
(2) 심전도 검사
- 서맥 시: 동서맥, 동정지, 동방차단.
- 빈맥 시: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방빈맥.
(3) 홀터 모니터링
- 24시간 또는 장기 심전도 기록으로 빈맥-서맥 주기를 확인.
-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진단에 유용.
(4) 전기생리학 검사
- 동결절 및 심장의 전도계 이상 평가.
(5) 기타 검사
- 혈액검사: 전해질 이상, 갑상선 기능 이상 평가.
- 심초음파: 심장의 구조적 이상 확인.
5. 치료
(1) 약물 치료
- 빈맥 치료: 항부정맥제(아미오다론, 플레카이니드 등), 심방세동 시 항응고제 병용.
- 서맥 치료: 서맥을 유발하는 약물의 용량 조정 또는 중단.
(2) 심박조율기 삽입
- 증상이 심각하거나 지속적인 서맥이 있는 경우 영구적 심박조율기(Pacemaker)를 삽입.
- 빈맥이 동반될 경우 이중 챔버 심박조율기를 고려.
(3) 생활 습관 관리
-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제한.
- 심장을 자극하는 약물 및 환경 피하기.
6. 예후
- 심박조율기 삽입 후 대부분 증상이 개선되고 예후가 호전됩니다.
- 치료하지 않은 경우 심한 서맥으로 인해 실신, 심장 정지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관리로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7. 요약
빈맥-서맥 증후군은 심장의 박동수가 빠르게 뛰거나 느리게 뛰는 현상이 교대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동결절 기능 부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증상은 빈맥과 서맥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며, 심전도 및 홀터 모니터링을 통해 진단합니다. 주요 치료는 심박조율기 삽입이며, 적절한 치료 시 예후는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