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자동능(Automaticity)과 심장의 흥분전도계(Excitatory-Conducting System)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5. 06:43
728x90
반응형
SMALL

자동능(Automaticity)과 심장의 흥분전도계(Excitatory-Conducting System)

심장은 자율적으로 박동하는 특성을 지니며, 이는 자동능(automaticity)과 흥분전도계(excitatory-conducting system)의 조화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시스템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하여 심장이 효율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할 수 있도록 조절합니다.


1. 자동능(Automaticity)

(1) 정의

  • 자동능은 심장 근육세포가 외부 신경 자극 없이도 스스로 전기적 신호(활동전위)를 생성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 이는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의 특수 세포에서 주로 나타나며, 심장박동의 시작점이 됩니다.

(2) 주요 특성

  • 자발적 탈분극:
    • 심장 특수 세포는 막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가 안정적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탈분극하여 임계점에 도달하면 활동전위를 발생시킴.
  • 속도 조절:
    • 교감신경: 심박수 증가.
    • 부교감신경: 심박수 감소.
  • 기초 심박수:
    • 동방결절의 자동능에 의해 설정되며, 분당 약 60~100회.

(3) 이온 채널의 역할

  • If 채널(Funny current):
    • 자동능의 핵심 기전으로, 탈분극 시 느리게 활성화되며 나트륨(Na⁺)과 칼륨(K⁺)의 혼합 전류를 생성.
  • 칼슘 이온(Ca²⁺):
    • L형 칼슘 채널이 열려 활동전위를 유발.
  • 칼륨 이온(K⁺):
    • 재분극 단계에서 칼륨 채널이 열려 막전위를 복원.

2. 흥분전도계(Excitatory-Conducting System)

(1) 흥분전도계의 구성

심장의 흥분전도계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심장 전체에 전달하는 특수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 심장의 박동을 시작하는 자연 심박조율기(pacemaker) 역할.
    • 위치: 우심방의 상벽 근처.
    • 생성된 신호는 심방근육으로 퍼지며 심방 수축을 유도.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 위치: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방실경계.
    • 역할:
      • 동방결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심실로 보냄.
      • 전달 지연(delay): 약 0.1초 지연되어 심방이 수축을 완료하고 혈액을 심실로 보내는 시간을 확보.
  3. 히스 다발(Bundle of His):
    • 방실결절에서 나온 전기 신호를 심실로 전달.
    • 위치: 심실 중격 상부.
  4. 좌우 다발가지(Bundle Branches):
    • 히스 다발이 좌우로 갈라져 좌심실과 우심실로 신호를 전달.
  5. 푸르킨예 섬유(Purkinje Fibers):
    • 좌우 다발가지에서 이어지는 섬유로, 심실 근육세포에 전기 신호를 빠르게 전달하여 심실 전체의 동시 수축을 유도.

(2) 흥분전달 경로

  1. 동방결절(SA node)에서 신호 생성.
  2. 신호가 심방근육을 통해 퍼지며 심방이 수축.
  3. 신호가 방실결절(AV node)로 전달되어 약간 지연.
  4. 히스 다발(Bundle of His)을 통해 심실로 신호 전달.
  5. 신호가 좌우 다발가지(Bundle Branches)를 통해 심실벽으로 확산.
  6. 푸르킨예 섬유(Purkinje fibers)를 통해 심실 전체가 동시 수축.

(3) 각 구조의 고유 박동수

흥분전도계의 각 구조는 고유한 박동수를 가지고 있으며, 동방결절이 이를 주도합니다.

 

구조                                             고유 박동수 (bpm)                     역할

동방결절(SA Node) 60~100 주된 심박 조율기
방실결절(AV Node) 40~60 보조 심박 조율기
히스 다발 및 다발가지 20~40 전기 신호 전달
푸르킨예 섬유 20~40 심실 근육 동시 수축 유도

3. 자동능과 흥분전도계의 조화

(1) 동기화된 수축

  • 흥분전도계는 신호를 빠르고 정밀하게 전달하여 심방과 심실의 수축이 동기화되도록 조절.
  • 심방이 먼저 수축하여 심실이 혈액으로 채워지고, 이어서 심실이 강하게 수축하여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

(2) 전기적 전도 속도

  • 전기 신호의 전도 속도는 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 심방근육: 중간 속도.
    • 방실결절: 가장 느림 (지연).
    • 푸르킨예 섬유: 가장 빠름.

(3) 자동능의 조절

  •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음:
    • 교감신경: 심박수 증가 및 수축력 강화.
    • 부교감신경: 심박수 감소 및 안정 상태 유지.

4. 자동능과 흥분전도계의 병리학

(1) 부정맥(Arrhythmia)

  • 전기 신호의 생성 또는 전달 이상으로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
    • 동방결절 문제: 서맥 또는 동성부정맥.
    • 방실결절 차단: 방실차단(AV block).
    • 비정상적 전기 회로: 심방세동, 심실세동.

(2) 조기흥분 증후군

  • 흥분전도계 이상으로 정상 경로 외의 신호 전달.
    • 예: Wolff-Parkinson-White(WPW) 증후군.

(3) 심근 허혈

  •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해 흥분전도계의 기능 저하.
    • 예: 심근경색 후 전도 지연.

5. 결론

자동능과 흥분전도계는 심장이 외부 자극 없이도 박동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이 시스템은 심장의 효율적이고 동기화된 수축을 가능하게 하며, 생명 유지를 위한 혈액 순환에 필수적입니다. 이들의 이상은 부정맥, 심박동 장애와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