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5. 18. 15:56
728x90
반응형
SMALL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에 대한 내용을 심정지의 병태생리, 심폐소생술의 단계별 절차, 기술적 요소, 특수 상황에서의 CPR, 최신 가이드라인(2020 AHA 기준) 요약 등을 포함하여 교육 및 실습에도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사람의 심폐소생술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 정의

심폐소생술(CPR)은 심정지(cardiac arrest) 상태에서 인공적으로 혈액순환과 호흡을 유지하여 중추신경계와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고 자발순환회복(ROSC: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을 유도하는 응급처치입니다.


2. 심정지(Cardiac Arrest)의 병태생리

병태기전                                                            내용
 
심장이 수축 정지 또는 심실세동 발생 혈액순환이 멈추고 산소공급 중단
뇌, 심장, 신장 등의 조직 저산소증 4–6분 내에 뇌손상 시작, 10분 이상 시 불가역적 손상
자발순환회복 실패 시 사망 1분마다 생존율 7~10% 감소
 

3. 심정지의 원인 (5H & 5T 기억법)

5H

  • Hypovolemia (저혈량)
  • Hypoxia (저산소증)
  • Hydrogen ion (산증)
  • Hypo-/Hyperkalemia (전해질 이상)
  • Hypothermia (저체온증)

5T

  • 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
  • Tamponade (심장압전)
  • Toxins (약물/독극물)
  • Thrombosis (심근경색)
  • Thromboembolism (폐색전증)

4. CPR 절차 요약 (2020 AHA 기준)

1) 기본소생술(Basic Life Support, BLS)

성인 BLS 순서: CAB 순서

단계                                      설명

 

C – Circulation 즉시 30회 흉부압박 시작 (깊이 5~6cm, 속도 100~120회/분)
A – Airway 기도 확보 (head tilt-chin lift 또는 jaw thrust)
B – Breathing 인공호흡 2회 (마우스투마우스 또는 백밸브마스크 사용)
 

흉부압박이 가장 중요, 인공호흡은 지연되어도 무방 (특히 성인 중심 CPR에서는 Hands-only CPR도 인정)


5. 성인 심폐소생술 세부사항 (현장 기준)

흉부 압박

항목                                         권장 기준

 

깊이 최소 5cm, 최대 6cm
속도 100~120회/분
휴식 없이 지속 압박 중단 시간 최소화 (<10초)
해부학적 위치 양쪽 유두 사이 흉골 중앙부
손 위치 한 손 위에 다른 손을 올리고 팔을 곧게 펴서 누름
 

인공호흡 (Breaths)

항목                                         권장 기준

 

비율 30:2 (흉부압박:호흡)
호흡량 흉곽이 상승할 정도의 양
시간 1회 인공호흡은 약 1초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

절차                                  설명

 

전극 패드 부착 하나는 우흉부, 다른 하나는 좌측 늑골하방
리듬 분석 심실세동(VF), 무맥성 심실빈맥(pulseless VT) 감지 시 제세동
충격 후 즉시 흉부 압박 재개 (2분 단위 리듬 재평가)
 

6. 고급심장소생술(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약물요법

약물                                용도

 

Epinephrine 모든 심정지 상황 (1mg IV, 3~5분마다 반복)
Amiodarone VF/VT에 사용 (300mg IV bolus, 필요 시 150mg 추가)
Lidocaine Amiodarone 대체약
Atropine 서맥성 PEA (1mg IV, 3~5분마다 최대 3mg)
 

기도 확보

  • 기도삽관 (ET 튜브)
  • 백밸브마스크(BVM) 유지 가능 시 삽관 지연 가능

7. CPR 후 관리 (Post-Resuscitation Care)

관리 항목                                                 내용

 

산소화 유지 SpO₂ 94~99% 유지, 필요시 기계환기
혈압 유지 MAP ≥ 65mmHg 이상 유지
저체온치료(TTM) 32–36℃로 24시간 유지 (신경 보호 목적)
심장 관상동맥 중재 STEMI 의심 시 즉시 PCI 고려
EEG 감시 뇌전증성 발작 평가 (뇌손상 확인)
 

8. 연령별 CPR 요약 비교

항목                                   성인                        소아                                영아

 

압박 깊이 5~6cm 흉곽의 1/3 깊이 (약 5cm) 약 4cm
손 위치 두 손 한 손 또는 두 손 두 손가락
비율 (1인 구조자) 30:2 30:2 30:2
비율 (2인 구조자) 30:2 15:2 15:2
AED 사용 즉시 사용 가능 소아 패드 또는 어른 패드 가능 1세 이상부터 가능
 

9. 특수 상황에서의 CPR

상황                           특이사항

 

임산부 좌측으로 기울이기 (자궁 압박 해소), 복부 압박 금지
저체온증 체온 ≥ 30℃ 이상 도달 전까지 defibrillation 반복 가능
익수 즉시 CPR, 구조 시 수분 제거보다 순환 회복 우선
전기 감전 2차 감전 방지 필수, 제세동 시 금속 제거 후 시행
기도 이물 하임리히법 또는 복부 밀어내기 후 CPR 전환 가능
 

10. 핵심 요약

항목                                           내용

 

가장 중요한 기술 흉부압박의 질: 깊이, 속도, 중단 최소화
인공호흡 여부 성인의 경우 Hands-only CPR도 가능
제세동 시기 VF/VT 발생 시 가능한 빠르게 시행
약물 사용 Epinephrine → Amiodarone or Lidocaine
생존 향상 요소 초기 목격자 CPR, 신속한 AED 사용, 전문소생팀 개입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