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타액(Saliva)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3. 4. 06:34
728x90
반응형
SMALL

타액(Saliva)

타액은 침샘(salivary gland)에서 분비되는 투명한 액체로, 주로 구강 내 점막을 적셔주고, 음식물의 소화와 연하, 그리고 구강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타액의 생성과 분비

타액선(Salivary glands)

크게 대타액선(major salivary glands)과 소타액선(minor salivary glands)으로 나눕니다.

대타액선

  • 이하선(parotid gland)
    위치: 귀 앞, 교근 부위
    분비물: 주로 장액성(serous), 수분과 아밀레이스 풍부
  • 악하선(submandibular gland)
    위치: 턱 아래
    분비물: 혼합성(seromucous), 장액+점액
  • 설하선(sublingual gland)
    위치: 혀 밑
    분비물: 주로 점액성(mucous)

소타액선

구강 점막 전체에 퍼져 있으며, 입술, 볼, 혀 등에 분포. 주로 점액성 타액을 분비.


타액의 성분

타액은 약 99%가 물이고, 나머지 1%에 다양한 성분이 포함됩니다.

 

성분                                                               역할

아밀레이스(amylase) 탄수화물 소화 (특히 전분 분해)
뮤신(mucin) 점도를 주고, 윤활 작용
라이소자임(lysozyme) 세균 용해 및 항균 작용
락토페린(lactoferrin) 철 이온 결합 → 세균 성장 억제
면역글로불린A (IgA) 면역 방어
전해질 (Na+, K+, Cl-, HCO3-) pH 조절 및 전기적 균형 유지
히스타틴(histatin) 항진균 효과 (특히 Candida에 대해)
성장인자(EGF 등) 구강 상피 재생 촉진

타액의 기능

소화 보조

  • 아밀레이스를 통한 탄수화물 1차 소화
  • 음식물 연화 및 볼(bolus) 형성

구강 보호

  • 구강 점막 윤활
  • 치아 보호 (산으로부터 중화 작용)
  • 항균 작용 (라이소자임, IgA 등)

미각 보조

  • 용해를 통해 미각 수용체로 자극 전달

삼킴(연하) 보조

  • 음식물 윤활 → 연하 용이

구강 환경 유지

  • pH 유지 (평균 pH 6.7~7.4)
  • 탈회 방지, 치아 재광화 촉진 (칼슘, 인 포함)

타액의 분비 조절

타액 분비는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됩니다.

 

신경계                              작용

부교감신경 다량의 묽은 장액성 타액 분비
교감신경 소량의 점액성 타액 분비

 

부교감신경 자극 → 풍부하고 묽은 타액
교감신경 자극 → 끈적하고 점도 높은 타액


임상적 중요성

  • 구강건조증(xerostomia)
    원인: 약물(항콜린제 등), 방사선 치료, 자가면역(Sjögren’s syndrome)
    증상: 연하곤란, 미각저하, 구강염, 치아우식 증가
  • 타액 검사
    • 내분비 기능(코르티솔 등) 확인
    • 바이러스 감염 진단(EBV, CMV 등)
    • 약물 농도 모니터링
  • 타액 분비 장애
    이하선염, 타석증(sialolithiasis), 타액선 종양 등에서 분비 이상 발생

이 외에도 타액은 전신 건강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타액을 이용한 진단 기술(예: 코로나, 호르몬 측정 등)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