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심장판막질환의 증상 (Symptoms of Valvular Heart Disease)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2. 4. 22:16
728x90
반응형
SMALL

심장판막질환의 증상 (Symptoms of Valvular Heart Disease)

심장판막질환(Valvular Heart Disease, VHD)의 증상은 어떤 판막이 영향을 받았는지, 질환의 중증도, 심장의 보상능력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질환이 진행되면 심부전 및 전신적 순환 이상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1. 주요 증상 분류

  1. 혈류 공급 부족으로 인한 증상
    • 피로감 (Fatigue)
    • 운동 시 호흡곤란 (Exertional Dyspnea)
    • 어지럼증 및 실신 (Dizziness & Syncope)
    • 흉통 (Chest Pain)
  2. 폐울혈 및 우심부전 관련 증상
    • 기좌호흡 (Orthopnea)
    •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PND)
    • 폐부종 (Pulmonary Edema)
    • 하지부종 (Peripheral Edema)
    • 복수 (Ascites)
  3. 부정맥 및 혈전색전증 관련 증상
    • 심계항진 (Palpitations)
    •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 뇌졸중 (Stroke)

2. 심장판막질환 유형별 증상

심장판막질환은 협착(Stenosis)폐쇄부전(Regurgitation, Insufficiency) 으로 나뉘며, 영향을 받는 판막에 따라 증상이 다릅니다.

(1) 대동맥판 질환 (Aortic Valve Disease)

① 대동맥판 협착 (Aortic Stenosis, AS)

  • 병태생리: 대동맥판이 좁아지면서 좌심실이 더 강한 힘으로 혈액을 내보내야 함 → 좌심실 비대 → 좌심실 기능 저하 → 심부전.
  • 주요 증상 (삼대 증상: 협, 실, 호)
    1. 협심증 (Angina): 심근 허혈로 인한 가슴 통증 (운동 시 악화).
    2. 실신 (Syncope):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는 경우 발생 (운동 중 실신 가능).
    3. 호흡곤란 (Dyspnea on Exertion): 좌심실 기능 저하로 폐울혈 발생.
  • 추가 증상: 심박수 감소, 심잡음 (수축기 심잡음).

② 대동맥판 폐쇄부전 (Aortic Regurgitation, AR)

  • 병태생리: 대동맥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역류 → 좌심실 용적 과부하 → 좌심실 확장 → 좌심실 기능 저하.
  • 주요 증상
    • 운동 시 호흡곤란
    • 좌심부전 증상 (기좌호흡,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 흉부 두근거림 (Pounding Heartbeat): 좌심실 확장으로 인해 심박출량이 증가하면서 발생.
    • 말단 맥박 증가 (Bounding Pulse, Corrigan Pulse)
    • 수축기 및 이완기 잡음

(2) 승모판 질환 (Mitral Valve Disease)

① 승모판 협착 (Mitral Stenosis, MS)

  • 병태생리: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혈류가 제한됨 → 좌심방 압력 증가 → 폐울혈 및 폐고혈압 → 우심부전 진행 가능.
  • 주요 증상
    • 호흡곤란 (Dyspnea, 특히 운동 시)
    • 기좌호흡 및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 객혈 (Hemoptysis): 폐울혈로 인해 기관지 정맥이 파열되면서 발생.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 좌심방 확장으로 인해 부정맥 발생 가능 → 혈전 생성 위험 증가 → 뇌졸중 가능성 증가.
    • 권태감 및 피로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전신 혈류 부족).

② 승모판 폐쇄부전 (Mitral Regurgitation, MR)

  • 병태생리: 좌심실 수축 시 일부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 → 좌심방과 좌심실 부담 증가 → 좌심부전 진행 가능.
  • 주요 증상
    • 운동 시 호흡곤란
    • 심계항진 (Palpitations): 심방세동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음.
    • 부종 및 피로감
    • 폐울혈 증상 (기침, 객혈, 야간 호흡곤란)

(3) 삼첨판 및 폐동맥판 질환

① 삼첨판 협착 (Tricuspid Stenosis, TS)

  • 병태생리: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가는 혈류가 제한됨 → 우심방 압력 증가 → 정맥 울혈.
  • 주요 증상
    • 정맥울혈 증상 (하지부종, 복수, 간비대).
    • 우심부전 증상 (권태감, 피로, 복부 불편감).
    • 심잡음 (이완기 심잡음, 흡기 시 증가).

② 삼첨판 폐쇄부전 (Tricuspid Regurgitation, TR)

  • 병태생리: 우심실에서 우심방으로 혈액이 역류 → 우심방 확장 → 전신 정맥압 상승.
  • 주요 증상
    • 하지부종 및 복수
    • 경정맥 확장 (Jugular Venous Distension, JVD)
    • 간비대 및 복부 불편감
    • 심잡음 (수축기 잡음, 흡기 시 증가)

③ 폐동맥판 협착 (Pulmonary Stenosis, PS)

  • 병태생리: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가는 혈류가 제한됨 → 우심실 비대 및 기능 저하.
  • 주요 증상
    • 운동 시 호흡곤란
    • 우심부전 증상 (하지부종, 복수, 피로감).
    • 흉부 불편감 및 실신
    • 수축기 심잡음

④ 폐동맥판 폐쇄부전 (Pulmonary Regurgitation, PR)

  • 병태생리: 폐동맥에서 우심실로 혈액이 역류 → 우심실 확장 및 부담 증가.
  • 주요 증상
    • 우심부전 증상 (하지부종, 간비대, 피로감).
    • 심잡음 (이완기 심잡음)

3. 결론

심장판막질환의 증상은 판막의 종류 및 기능 이상(협착 vs. 폐쇄부전)에 따라 다릅니다.

  • 좌심부전 관련 증상 (호흡곤란, 폐울혈) → 대동맥판 및 승모판 질환에서 흔함.
  • 우심부전 관련 증상 (부종, 복수) → 삼첨판 및 폐동맥판 질환에서 흔함.
  • 심방세동 및 색전증 위험 → 승모판 협착에서 흔함.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심초음파(Echocardiography)를 통해 판막 기능을 정기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