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심장판막질환의 원인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30. 12:54
728x90
반응형
SMALL

심장판막질환의 원인

심장판막질환(Valvular Heart Disease, VHD)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선천성 원인 (Congenital Causes)

출생 시부터 판막의 구조적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이며,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선천성 대동맥판 이상

  1. 이첨판 대동맥판(Bicuspid Aortic Valve, BAV)
    • 정상적인 대동맥판은 세 개의 판막첨(cusp)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두 개만 존재하는 기형.
    • 시간이 지나면서 석회화가 진행되며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AS)폐쇄부전(Aortic Regurgitation, AR) 유발.
    • 상염색체 우성 유전과 관련이 있으며, 마판증후군(Marfan syndrome)과 연관될 수 있음.
  2. 대동맥 축착(Coarctation of the Aorta, CoA)
    • 대동맥이 좁아지는 기형으로, 이로 인해 대동맥판 질환이 동반될 수 있음.

(2) 선천성 폐동맥판 이상

  • 폐동맥판 협착(Pulmonary Stenosis, PS)이 대표적이며, 심한 경우 출생 후 저산소증을 초래.
  • 테트랄로지 오브 팔로(Tetralogy of Fallot, TOF)와 같은 복합 선천성 심장병과 관련이 있음.

(3) 승모판 및 삼첨판 기형

  1. 승모판 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MVP)
    • 승모판의 한쪽 또는 양쪽 첨판이 좌심방으로 돌출되는 상태.
    • 경미한 경우 무증상이지만, 심한 경우 승모판 폐쇄부전(Mitral Regurgitation, MR) 발생.
  2. 에브스타인 기형(Ebstein’s Anomaly)
    • 삼첨판의 위치가 비정상적으로 아래쪽(우심실 쪽)으로 내려와 있는 기형.
    • 삼첨판 폐쇄부전(Tricuspid Regurgitation, TR)을 초래할 수 있음.

2. 후천성 원인 (Acquired Causes)

출생 후 다양한 질환이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심장판막이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1) 퇴행성 변화 (Degenerative Changes)

노화와 관련된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1. 판막 석회화(Calcific Degeneration)
    • 주로 대동맥판과 승모판에서 발생.
    • 판막 첨(cusp)이 석회화되면서 탄력을 잃고 제대로 열리지 않음 → 협착(Stenosis) 유발.
    • 고령층에서 흔하며, 특히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AS)**의 주요 원인.
  2. 섬유화 및 판막 비후(Fibrosis and Thickening)
    • 판막 조직이 점점 두꺼워지면서 기능이 저하됨.
    • 노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며, 주로 승모판에서 많이 관찰됨.

(2) 류마티스성 심장병 (Rheumatic Heart Disease, RHD)

  •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에 의한 류마티스열(Rheumatic Fever)이 원인.
  • 면역반응이 심장판막을 공격하여 염증이 발생하고, 섬유화 및 협착 유발.
  • 승모판 협착(Mitral Stenosis, MS)의 가장 흔한 원인.
  • 대동맥판과 삼첨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저개발국에서 아직도 흔하며, 조기 치료가 중요함.

(3) 감염성 심내막염 (Infective Endocarditis, IE)

  • 세균(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연쇄상구균)이 심장판막에 감염을 일으킴.
  • 판막에 세균성 증식물(vegetation)이 형성되어 기능 저하 유발.
  • 폐쇄부전이나 협착의 원인이 되며, 심한 경우 판막 천공 발생 가능.
  • 인공판막 환자, 면역저하자, 정맥주사 약물 사용자에서 고위험.

(4) 판막탈출증 (Valve Prolapse) 및 변성 질환

  • 승모판 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MVP)이 대표적.
  • 판막이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나 과도하게 돌출됨.
  • 심한 경우 승모판 폐쇄부전(MR)으로 진행.
  • 원인: 유전적 소인, 결합조직 질환 (마판증후군,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5) 판막 기능 부전 유발 심장질환

다른 심장 질환이 판막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도 있음.

  1.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 좌심실 후벽 또는 유두근(papillary muscle)이 괴사하면 승모판 폐쇄부전(MR) 발생 가능.
  2.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DCM)
    • 심장이 확장되면서 판막고리(annulus)가 늘어나 승모판 및 삼첨판 폐쇄부전 발생 가능.
  3. 고혈압 및 대동맥 질환
    • 장기간 고혈압이 있으면 대동맥판 기능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음.
    •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시 대동맥판 폐쇄부전 발생 가능.

(6) 약물 및 방사선 노출

  1. 약물에 의한 판막질환
    • 펜플루라민(Fenfluramine, 다이어트 약) → 승모판 및 삼첨판 폐쇄부전 유발 가능.
    • 도파민 효능제(Ergot derivatives) → 판막 섬유화 초래 가능.
  2.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 흉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대동맥판 및 승모판 석회화 증가.
    • 장기간에 걸쳐 판막 협착 유발 가능.

3. 심장판막질환 원인의 요약

원인                    세부 요인                                                                   주요 영향

선천성 이첨판 대동맥판(BAV), 에브스타인 기형, 승모판 탈출증(MVP) 협착, 폐쇄부전
퇴행성 변화 석회화, 섬유화 대동맥판 협착, 승모판 협착
류마티스성 심장병 연쇄상구균 감염 후 면역반응 승모판 협착(MS), 대동맥판 협착
감염성 심내막염 세균 감염 (황색포도상구균 등) 판막 천공, 폐쇄부전
심장질환 심근경색, 심근병증, 대동맥 질환 판막 폐쇄부전 (MR, AR)
약물/방사선 펜플루라민, 방사선 치료 판막 섬유화, 폐쇄부전

결론

심장판막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후천적 요인 중에서는 퇴행성 변화, 류마티스성 심장병, 감염성 심내막염이 중요한 원인입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 예방, 혈압 관리, 정기적인 심장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