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뇌종양의 증상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23. 06:16
728x90
반응형
SMALL

뇌종양의 증상

뇌종양의 증상은 종양의 크기, 종류, 발생 위치, 주변 조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증상은 국소적 증상(특정 뇌 영역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과 전신적 증상(뇌압 상승 또는 종양의 전반적인 영향으로 발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반적인 증상

(1) 두통

  • 가장 흔한 초기 증상 중 하나로, 뇌압 상승에 의해 발생합니다.
  • 특징:
    • 아침에 심해지고, 구토 후 완화되는 경우 많음.
    • 점차 악화되며, 기존 두통과 다른 새로운 양상을 보일 수 있음.
  • 기침, 재채기 또는 자세 변화로 증상이 심해질 수 있음.

(2) 구토

  • 뇌압 상승으로 인해 뇌간 자극이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증상.
  • 일반적으로 두통 후에 발생하며, 구역질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발사성 구토가 특징.

(3) 시각 이상

  • 시신경 유두부종(Papilledema): 뇌압 상승으로 시신경이 부종 상태가 됨.
  • 시야 장애, 복시(겹쳐 보임), 시력 저하가 동반될 수 있음.

(4) 인지 및 성격 변화

  • 기억력 감퇴, 판단력 저하, 집중력 감소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성격 변화:
    • 무관심, 충동적 행동, 감정 기복 등.

2. 국소적 증상

(1) 운동 기능 장애

  • 대뇌의 운동 피질이 영향을 받으면 반신마비(hemiparesis) 또는 근력 저하가 발생.
  • 손의 미세 조정 능력 저하 또는 다리 움직임 장애.

(2) 감각 이상

  • 감각 피질이 손상되면 저림, 감각 소실, 이상 감각 발생.
  • 일부 환자는 뜨겁거나 차가운 것을 인지하지 못함.

(3) 발작(경련)

  • 뇌종양 환자에서 약 30%~50%가 발작을 경험.
  • 부분 발작(국소적 증상) 또는 전신 발작(온몸의 경련)으로 나타날 수 있음.
  • 처음 발작이 성인기에 발생했다면 뇌종양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

(4) 언어 장애

  • 좌반구(우성 반구)의 브로카 영역 손상:
    • 말을 유창하게 하지 못하는 표현성 실어증.
  • 베르니케 영역 손상:
    •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유창하지만 의미 없는 말을 하는 수용성 실어증.

(5) 시각 장애

  • 후두엽 손상:
    • 시야 결손(예: 반맹증).
  • 시각 경로 손상:
    • 시야의 특정 부분이 보이지 않음.

(6) 균형 및 조정 장애

  • 소뇌 손상:
    • 운동 실조, 비틀거림, 균형 유지 어려움.
  • 소뇌 종양은 술 취한 것처럼 보이는 움직임과 관련.

(7) 뇌신경 장애

  • 특정 뇌신경이 압박되거나 손상되면 해당 기능에 문제가 발생:
    • 안구운동 장애(복시, 안구 진탕).
    • 안면 신경 마비 또는 청력 손실.

3. 전신적 증상

(1) 졸음 및 피로

  • 뇌압 상승으로 인한 증상으로, 종양이 진행될수록 심해질 수 있음.

(2) 호르몬 이상

  • 뇌하수체 종양:
    • 성장호르몬 과잉(말단비대증), 프로락틴 과잉(무월경, 유즙분비), 갑상선 기능 저하 또는 항진.

(3) 체중 변화

  • 식욕 감소 또는 호르몬 이상으로 체중이 변화.

4. 뇌 위치별 증상 요약

뇌 부위             주요 증상

전두엽 성격 변화, 판단력 저하, 운동마비, 실어증.
두정엽 감각 이상, 시공간 인지 저하, 반신 감각 소실.
측두엽 기억력 감퇴, 청각 환각, 수용성 실어증, 발작.
후두엽 시야 결손, 시각 장애.
소뇌 균형 장애, 운동 실조, 조정 문제.
뇌간 안구 운동 장애, 연하 곤란, 안면 마비, 호흡 곤란.
뇌하수체 호르몬 이상, 시야 협착, 체중 변화.

5. 소아와 성인의 차이점

  • 소아:
    • 뇌종양은 주로 소뇌뇌간에서 발생하여 균형 장애와 운동 실조가 주증상.
    •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두통과 구토.
  • 성인:
    • 뇌종양은 대뇌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국소적 신경학적 결손(운동 및 언어 장애)과 인지 기능 저하가 흔함.

결론

뇌종양의 증상은 종양의 위치, 크기,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비특이적 증상으로 시작할 수 있으나, 점차 진행되면서 국소적 신경학적 증상과 전신적 증상이 뚜렷해질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을 위해 지속적인 두통, 발작,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