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혈액순환계 회로 (Circulatory System Circuit)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21. 07:08
728x90
반응형
SMALL

혈액순환계 회로 (Circulatory System Circuit)

혈액순환계는 심장을 중심으로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의 제거를 위해 혈액을 순환시키는 네트워크입니다. 순환계는 심장, 혈관, 혈액으로 구성되며, 주요 회로는 크게 폐순환(소순환)과 체순환(대순환)으로 나뉩니다.


1. 혈액순환계의 주요 구성 요소

(1) 심장 (Heart)

  • 위치: 흉곽의 중앙, 좌측으로 약간 치우쳐 있음.
  • 기능: 혈액을 펌프질하여 폐와 전신으로 순환.
  • 구조:
    • 4개의 방: 좌심방, 우심방, 좌심실, 우심실.
    • 판막: 삼첨판, 승모판, 대동맥판, 폐동맥판으로 혈액의 역류를 방지.

(2) 혈관 (Blood Vessels)

  1. 동맥 (Arteries)
    • 심장에서 혈액을 운반.
    • 산소화된 혈액: 체순환에서는 동맥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
    • 구조: 두꺼운 평활근층으로 고압에 견딤.
  2. 정맥 (Veins)
    • 심장으로 혈액을 운반.
    • 체순환에서는 산소가 적은 혈액을 운반.
    • 구조: 얇은 벽과 판막 구조로 혈액 역류 방지.
  3. 모세혈관 (Capillaries)
    •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미세혈관.
    • 물질 교환의 주요 장소.

(3) 혈액 (Blood)

  • 구성 성분: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 기능:
    • 산소, 영양소, 호르몬 전달.
    • 노폐물, 이산화탄소 제거.
    • 체온 조절, 면역 방어.

2. 혈액순환계의 주요 회로

(1) 폐순환 (Pulmonary Circulation)

  • 역할: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혈액을 폐로 보내 산소를 공급받는 회로.
  • 과정:
    1. 우심실폐동맥: 산소가 적은 혈액을 폐로 보냄.
    2. 폐모세혈관:
      •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
      • 혈액은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제거.
    3. 폐정맥좌심방: 산소화된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옴.
  • 특징:
    • 폐순환의 동맥은 산소가 적고, 정맥은 산소가 풍부.

(2) 체순환 (Systemic Circulation)

  • 역할: 산소와 영양소를 전신 조직에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회로.
  • 과정:
    1. 좌심실대동맥: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
    2. 모세혈관:
      • 조직에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
      •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혈액으로 흡수.
    3. 대정맥우심방: 산소가 적은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옴.
  • 특징:
    • 체순환의 동맥은 산소가 풍부하고, 정맥은 산소가 적음.

(3) 특수 순환

(a) 간문맥 순환 (Hepatic Portal Circulation)

  • 역할: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영양소를 간으로 운반하여 대사와 해독.
  • 과정:
    1. 소장 → 간문맥 → 간.
    2. 간에서 영양소 처리 후 전신 순환으로 이동.

(b) 관상 순환 (Coronary Circulation)

  • 역할: 심장 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순환.
  • 구조:
    • 관상동맥: 산소화된 혈액을 심근에 공급.
    • 관상정맥: 산소가 소모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림.

(c) 태아 순환 (Fetal Circulation)

  • 역할: 태반을 통해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는 순환.
  • 특징:
    • 난원공, 동맥관과 같은 구조를 통해 폐순환이 우회됨.

3. 순환계의 주요 조절 기전

(1) 신경 조절

  • 교감신경: 심박수와 혈압 증가.
  • 부교감신경: 심박수와 혈압 감소.

(2) 호르몬 조절

  •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혈압 및 체액량 조절.
  • 항이뇨호르몬(ADH): 혈액량 유지.

(3) 국소 조절

  • 산소 부족 시 혈관 확장.
  • 조직 대사 산물에 의한 국소 혈류 변화.

4. 혈액순환계의 중요성

  • 산소 및 영양소 공급: 생명 유지.
  • 대사 노폐물 제거: 체내 환경 유지.
  • 면역 및 방어 기능: 감염 예방.
  • 항상성 유지: 혈압, 체온, 체액 조절.

혈액순환계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며, 각 회로와 조절 기전은 유기적으로 작용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