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맥(Bradycardia)의 임상 양상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20. 07:19
728x90
반응형
SMALL

서맥(Bradycardia)의 임상 양상

서맥(Bradycardia)는 심박수가 정상 범위 이하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심박수가 60 bpm 이하일 때 진단됩니다. 서맥은 생리적 반응일 수도 있고, 심장 또는 전신 질환과 관련된 병적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서맥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서맥의 분류

(1)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1. 동성 서맥(Sinus Bradycardia)
    • 동방결절(SA Node)의 전기적 활동이 감소한 상태.
    • 운동 선수에서 관찰되는 생리적 서맥이 대표적.
  2. 이소성 서맥(Ectopic Bradycardia)
    • 비정상적인 부위에서 발생하는 느린 전기 신호.
  3. 심차단(Heart Block)
    • 심장의 전도계 이상으로 신호 전달이 느려지거나 차단됨.
    • 예: 1도 방실차단(1st-degree AV block), 2도 방실차단(2nd-degree AV block), 3도 방실차단(3rd-degree AV block).

(2) 원인에 따른 분류

  1. 생리적 서맥
    • 운동 선수, 수면 중, 고령에서 정상적으로 발생.
  2. 병적 서맥
    • 심혈관계 또는 전신적 문제로 발생:
      •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 갑상선저하증, 전해질 불균형, 약물(β-차단제, 디곡신).

2. 서맥의 임상 증상

(1) 무증상

  • 심박수 감소가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증상이 없을 수 있음.
  • 운동 선수와 같이 심장이 강한 사람에서 빈번.

(2) 증상이 있는 경우

서맥으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a) 심혈관계 증상

  1. 어지럼증(Dizziness)
    •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뇌혈류 감소.
  2. 실신(Syncope)
    • 급격한 혈압 저하 및 뇌혈류 차단으로 인해 의식 상실.
  3. 흉통(Chest Pain)
    • 특히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관류 감소로 인해 발생.
  4.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 신체 활동 중 필요한 심박수 증가가 제한됨.

(b) 신경학적 증상

  1. 인지 저하(Cognitive Impairment)
    • 만성적인 뇌혈류 감소로 인해 집중력과 기억력이 저하.
  2. 졸음 또는 피로(Excessive Fatigue)
    • 조직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한 전신적 피로감.
  3. 경련(Seizure)
    • 극심한 서맥으로 인한 뇌의 저산소증.

(c) 전신 증상

  1. 창백(Pallor)
    • 말초 순환 부족으로 인해 피부가 창백해짐.
  2. 발한(Sweating)
    • 서맥으로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되면서 나타남.
  3. 차고 축축한 피부
    •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해 발생.

(3) 특정 유형에 따른 증상

  1. 동성 서맥(Sinus Bradycardia)
    •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
    • 운동 시 증상이 악화되면 병적 상태일 가능성.
  2. 심차단(Heart Block)
    • 2도 또는 3도 방실차단에서 심박출량 급감으로 어지럼증, 실신 발생 가능.
    • 3도 방실차단은 생명 위협적일 수 있음.
  3.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 서맥과 빈맥이 번갈아 나타날 수 있음(서맥-빈맥 증후군).
    • 피로, 어지럼증, 실신이 주요 증상.

3. 서맥의 원인과 관련된 특징적 증상

(1) 생리적 원인

  • 운동 선수:
    • 심장의 높은 펌프 능력으로 인해 휴식 시 서맥.
    • 증상 없음.
  • 수면:
    • 정상적인 부교감신경 활성 증가로 서맥 발생.

(2) 병적 원인

  1. 심혈관계 질환:
    • 심근경색: 동방결절 또는 방실결절 손상.
    • 심근염: 염증으로 인한 전도계 손상.
  2. 전해질 이상:
    • 고칼륨혈증: 심근의 재분극 과정에 영향을 미침.
    • 저칼륨혈증: 심박수 감소 유발.
  3. 내분비 질환:
    • 갑상선저하증: 대사율 감소로 심박수 감소.
  4. 약물:
    • β-차단제, 칼슘통로 차단제: 심박수 감소.
    • 디곡신: AV 차단 유발 가능.
  5. 자율신경계 이상:
    • 미주신경 자극 증가: 심박수 감소.

4. 서맥의 합병증

  1. 저혈압(Hypotension)
    •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발생.
  2. 실신 및 낙상
    • 어지럼증 또는 의식 상실로 인해 위험 증가.
  3. 심부전(Heart Failure)
    • 만성적인 심박출량 저하로 심장 기능 악화.
  4. 급사(Sudden Cardiac Death)
    • 3도 방실차단 등에서 발생 가능.

5. 진단적 접근

(1) 병력 청취

  • 증상 발생 시점, 빈도, 지속 시간.
  • 약물 복용 및 전신 질환 병력.

(2) 신체검사

  • 맥박 측정 및 규칙성 확인.
  • 흉부 청진: 심음 및 잡음 확인.

(3) 심전도(EKG)

  • 동성 서맥인지 심차단인지 확인.
  • P파와 QRS의 관계, QRS 간격 분석.

(4) 혈액검사

  • 전해질 불균형, 갑상선 기능 저하 평가.

(5) 심장 영상 검사

  • 심초음파: 구조적 이상 확인.
  • MRI: 심근염 또는 심근병증 평가.

(6) 24시간 홀터 검사

  •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서맥 확인.

6. 치료 및 관리

(1) 급성 치료

  • 증상이 심하고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 아트로핀(Atropine): 부교감신경 억제로 심박수 증가.
    • 도파민 또는 에피네프린: 혈압 및 심박수 상승.

(2) 원인 치료

  • 전해질 교정, 갑상선 호르몬 보충, 약물 조정.

(3) 기계적 치료

  • 심박조율기(Pacemaker) 삽입:
    • 동기능부전증후군, 3도 방실차단 등에서 사용.

서맥은 무증상일 수도 있지만, 증상이 있을 경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원인 규명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