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빈맥(Tachycardia)의 임상 양상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20. 07:08
728x90
반응형
SMALL

빈맥(Tachycardia)의 임상 양상

빈맥(Tachycardia)는 심박수가 정상 범위(성인의 경우 60~100 bpm)를 초과하여 분당 100회 이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빈맥은 생리적 요인에 의한 정상 반응일 수도 있고, 심혈관계나 다른 전신적 질환에 의해 병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1. 빈맥의 분류

(1)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1. 상심실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SVT)
    • 심방이나 방실결절(AV Node)에서 기원하는 빈맥.
    • 예: 동성 빈맥(Sinus Tachycardia), 방실결절 회귀 빈맥(AVNRT),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2.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
    • 심실에서 기원하는 빈맥.
    • 예: 단형성 심실빈맥(Monomorphic VT), 다형성 심실빈맥(Polymorphic VT),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2) 기전에 따른 분류

  1. 동성 빈맥(Sinus Tachycardia)
    • 동방결절에서 정상 전기적 신호가 빠르게 생성되는 상태.
  2. 비정상 자동능 빈맥(Abnormal Automaticity Tachycardia)
    • 비정상적인 조직에서 자발적인 전기 신호 생성.
  3. 재진입 빈맥(Reentrant Tachycardia)
    • 전기적 신호가 심장 내에서 순환하며 지속적으로 자극을 유발.

2. 빈맥의 임상 증상

빈맥의 증상은 심박수, 원인, 환자의 심혈관 상태 및 동반 질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일반적인 증상

  1. 심혈관계 증상:
    • 두근거림(Palpitations): 빠르고 강한 심박동을 느낌.
    • 흉통(Chest Pain): 특히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발생.
    • 어지럼증(Dizziness): 뇌로 가는 혈류 감소로 인해 발생.
    • 실신(Syncope): 심박출량 저하로 뇌혈류가 감소하면서 의식 상실.
    • 호흡곤란(Dyspnea):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폐울혈 발생.
  2. 전신 증상:
    • 피로(Fatigue): 심박수 증가로 심장 효율이 떨어지며 피로감 유발.
    • 발한(Sweating): 교감신경 활성 증가.
    • 불안(Anxiety): 빠른 심박동에 따른 불편감.

(2) 상심실성 빈맥(SVT)의 증상

  • 발작적 시작 및 종료(Paroxysmal): 증상이 갑자기 시작하고 끝남.
  • 심박수: 보통 150~250 bpm.
  • 증상:
    • 경도의 흉통.
    • 두근거림이 특징적.
    • 경정맥이 불규칙하게 뛰는 모습 관찰 가능.

(3)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증상

  • 불규칙한 심박동으로 인한 증상:
    • 두근거림이 불규칙하고 간헐적.
    • 어지럼증과 실신 가능성 증가.
  • 장기간 지속 시 뇌졸중 위험 증가.

(4)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의 증상

  • 심박수: 보통 120~250 bpm.
  • 증상:
    • 현기증, 어지럼증.
    • 심한 경우 심정지로 진행 가능.
    • 다형성 VT(예: Torsades de Pointes)의 경우 저칼륨혈증이나 QT 연장증후군에서 발생하며 치명적일 수 있음.

(5) 동성 빈맥(Sinus Tachycardia)의 증상

  • 서서히 시작하고 끝나는 특징.
  • 생리적 원인(운동, 스트레스, 발열)에서는 증상이 경미.
  • 병적 원인(빈혈, 갑상선항진증, 심부전)에서는 두근거림 외에 전신 증상이 동반.

3. 원인에 따른 특징적 증상

(1) 생리적 빈맥

  • 원인: 운동, 스트레스, 열, 카페인, 흥분, 탈수.
  • 특징: 원인 제거 시 심박수 정상화.

(2) 병리적 빈맥

  • 심장 원인:
    • 심근경색, 심부전, 심근병증.
    • 증상: 심장 관련 증상(흉통, 호흡곤란)이 뚜렷.
  • 비심장 원인:
    • 빈혈, 갑상선항진증, 패혈증.
    • 증상: 원인 질환에 따라 발열, 체중 감소, 피로 등이 동반.

4. 진단적 접근

  1. 문진 및 병력 확인:
    • 두근거림의 시작/종료 양상.
    • 증상 유발 요인(운동, 스트레스, 약물).
  2. 신체검사:
    • 맥박의 규칙성 및 강도 평가.
    • 심음 및 잡음 확인.
  3. 심전도(EKG):
    • 빈맥 유형 및 발생 부위 확인.
    • QRS 폭에 따라 상심실성(좁은 QRS) 또는 심실성(넓은 QRS) 분류.
  4. 혈액검사:
    • 갑상선호르몬, 전해질, 염증 마커 확인.
  5.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장 구조적 이상 확인.

5. 빈맥의 합병증

  • 심박출량 감소: 혈류 부족으로 장기 기능 저하.
  • 심부전: 지속적 빈맥이 심근 기능을 저하시킴.
  • 혈전 형성 및 뇌졸중: 특히 심방세동에서 뇌졸중 위험 증가.
  • 급사(Sudden Cardiac Death): 심실성 빈맥이 심실세동으로 진행할 경우.

6. 치료 및 관리

  1. 일반적 관리:
    • 안정 상태 유지.
    • 증상 유발 요인 제거(카페인, 알코올 등).
  2. 약물 치료:
    • β-차단제: 심박수 감소.
    • 칼슘통로 차단제: 상심실성 빈맥 조절.
    • 항부정맥제: 심실성 빈맥 예방.
  3. 비약물적 치료:
    • 카르바할라 기술(Vagal Maneuver): 부교감신경 활성화로 심박수 감소.
    • 전기적 심율동 전환(Electrical Cardioversion).
  4. 수술적 치료:
    • 카테터 절제술(Catheter Ablation): 빈맥 유발 부위 제거.
    • 삽입형 제세동기(ICD): 심실성 빈맥 예방.

빈맥은 다양한 원인과 양상을 가지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없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환자의 병력, 증상, 심전도 분석을 통해 원인을 명확히 하고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