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말초신경병증 (Peripheral Neuropathy)
말초신경병증은 말초신경계(뇌와 척수 바깥에서 신체의 나머지 부분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계)의 손상 또는 이상으로 인해 감각, 운동, 또는 자율 신경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말초신경의 손상은 신체의 특정 부위 또는 전신에 걸쳐 다양한 증상과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정의
- 말초신경: 감각, 운동, 및 자율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말초 조직과 중추신경계를 연결.
- 말초신경병증: 말초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신경 신호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신체적,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는 상태.
2. 말초신경의 분류와 기능
(1) 운동신경(Motor nerves)
- 근육 수축을 조절하여 움직임을 생성.
- 손상 시: 근육 약화, 경련, 위축.
(2) 감각신경(Sensory nerves)
- 통증, 온도, 촉각, 진동, 위치감 등 감각 정보를 전달.
- 손상 시: 저림, 통증, 감각 소실.
(3) 자율신경(Autonomic nerves)
- 심박수, 혈압, 소화, 땀 분비 등 자동 조절 기능.
- 손상 시: 발한 이상, 혈압 조절 장애, 위장 문제.
3. 원인
말초신경병증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사성 및 내분비성 질환
- 당뇨병: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이 가장 흔함.
- 갑상선 기능 저하증.
(2) 영양 결핍
- 비타민 B1, B6, B12, E 부족.
-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영양 흡수 장애.
(3) 독성 물질 노출
- 약물: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등.
- 중금속: 납, 수은, 비소.
(4) 감염
- 바이러스: 대상포진(Varicella-Zoster Virus), HIV.
- 세균: 나병(Leprosy), 매독(Syphilis).
(5) 자가면역질환
-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
-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IDP).
(6) 유전 질환
- 샤르코-마리-투스 병(Charcot-Marie-Tooth Disease).
(7) 외상 및 압박
- 신경 손상: 사고, 수술, 반복적 압박(예: 수근관증후군).
4. 병리 기전
- 축삭 손상: 말초신경의 축삭(axon) 손상으로 신경 신호 전달 차단.
- 수초 손상: 탈수초성 질환으로 신경 신호의 속도 및 효율성 저하.
- 신경 염증: 염증으로 인해 신경 조직이 손상되고 기능 장애 초래.
5. 증상
말초신경병증의 증상은 손상된 신경의 유형과 범위에 따라 다양합니다.
(1) 감각신경 손상
- 저림, 따끔거림(이상감각).
- 감각 소실 또는 과민.
- 통증: 타는 듯한 통증, 전기충격 같은 통증.
(2) 운동신경 손상
- 근육 약화 또는 마비.
- 근육 경련, 연축.
- 근위축.
(3) 자율신경 손상
- 발한 이상(과도한 발한 또는 무발한).
- 소화 장애(복부 팽만, 설사 또는 변비).
- 혈압 이상: 기립성 저혈압.
- 비정상적인 심박수 조절.
6. 분류
(1) 원인에 따른 분류
-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
- 화학물질 유발 신경병증: 약물, 독소 노출.
- 영양 결핍성 신경병증: 비타민 결핍.
(2) 발병 부위에 따른 분류
- 단일신경병증(Mononeuropathy):
- 특정 신경 손상(예: 수근관증후군).
- 다발신경병증(Polyneuropathy):
- 여러 신경에 걸친 광범위한 손상.
7. 진단
(1) 병력 청취
- 증상 발생 시기, 악화 요인, 관련 질환 파악.
(2) 신체검사
- 감각 검사: 온도, 진동, 촉각 감각 확인.
- 근력 검사: 근육 약화 여부 확인.
- 자율신경 검사: 혈압, 심박수 반응.
(3) 전기진단 검사
-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Study, NCS): 신경 신호 전달 속도 측정.
- 근전도검사(EMG): 근육 및 신경 손상 평가.
(4) 혈액 검사
- 대사 장애(혈당, 비타민 결핍) 및 감염 확인.
(5) 조직 검사
- 신경 조직 생검: 탈수초성 질환 또는 염증 확인.
8. 치료
(1) 원인 치료
- 당뇨 조절, 비타민 보충.
- 감염 치료(항생제, 항바이러스제).
(2) 증상 완화 치료
- 통증 관리:
- 약물: 가바펜틴(Gabapentin), 프레가발린(Pregabalin).
-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 국소 치료: 캡사이신 크림, 리도카인 패치.
- 운동 및 재활:
- 물리치료: 근력 유지 및 근육 경축 예방.
- 보조기구 사용(예: 지팡이, 발 보조기).
(3) 자율신경 조절
- 기립성 저혈압 치료: 플루드로코르티손(Fludrocortisone).
- 소화 장애 개선: 위장운동 촉진제.
(4) 면역치료
- 자가면역 신경병증에서 스테로이드, 면역글로불린(IVIG), 혈장교환술.
9. 합병증
- 만성 통증 및 기능 장애.
- 감각 소실로 인한 상처 및 궤양 발생.
- 자율신경 손상으로 인한 심혈관 및 소화기 합병증.
10. 예후
- 조기 진단 및 치료 시 증상 개선 가능.
- 원인 질환(예: 당뇨, 감염)의 적절한 관리가 예후에 중요.
말초신경병증은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가지며, 체계적인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증상 완화 및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