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뇌종양 (Brain Tumor)
뇌종양은 뇌 또는 중추신경계에서 비정상적으로 세포가 증식하여 덩어리를 형성하는 질환입니다. 뇌종양은 종양이 발생한 세포의 기원과 종양의 성장 속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양성 또는 악성일 수 있으며, 종양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뇌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뇌종양의 분류
(1) 종양의 기원에 따른 분류
1) 원발성 뇌종양
- 뇌 자체에서 발생한 종양.
- 종류:
- 신경교종 (Glioma): 신경교세포에서 기원.
- 성상세포종 (Astrocytoma): 성상세포에서 발생.
- 교모세포종 (Glioblastoma): 성상세포종의 악성 형태.
- 희소돌기교종 (Oligodendroglioma): 희소돌기교세포에서 발생.
- 수막종 (Meningioma): 뇌를 감싸는 수막에서 기원.
- 뇌하수체 종양 (Pituitary Adenoma): 뇌하수체에서 발생.
- 수모세포종 (Medulloblastoma): 소뇌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소아에서 흔함).
- 신경교종 (Glioma): 신경교세포에서 기원.
2) 전이성 뇌종양
-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암세포가 혈류를 통해 뇌로 전이.
- 폐암, 유방암, 흑색종에서 흔히 전이.
(2) 종양의 악성도에 따른 분류
1) 양성 종양
- 성장 속도가 느림.
- 뇌 조직 침범이 적고, 수술로 완전히 제거 가능.
- 예: 수막종, 신경초종.
2) 악성 종양
- 성장 속도가 빠르고 침습적.
- 뇌조직에 침투하여 치료가 어려움.
- 예: 교모세포종, 수모세포종.
(3) 세계보건기구(WHO) 등급
WHO는 뇌종양을 등급(I~IV)으로 나눕니다.
- 1등급: 양성, 성장 느림(예: 저등급 성상세포종).
- 2등급: 중간 성장 속도(예: 희소돌기교종).
- 3등급: 악성, 빠른 성장(예: 역형성 성상세포종).
- 4등급: 고도 악성, 매우 빠른 성장(예: 교모세포종).
2. 뇌종양의 증상
증상은 종양의 크기, 위치, 성장 속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1) 일반적 증상
- 두통: 특히 아침에 심하거나 체위 변화 시 악화.
- 구토: 두개내압 증가로 발생.
- 의식 변화: 혼란, 졸림, 기억력 저하.
- 경련(발작): 종양에 의해 발생한 비정상적 신경 활동.
(2) 특정 부위에 따른 증상
- 전두엽: 성격 변화, 판단력 저하, 운동 약화.
- 두정엽: 감각 이상, 공간 지각 장애.
- 측두엽: 기억력 저하, 언어 문제.
- 후두엽: 시각 장애.
- 소뇌: 운동 실조, 균형 장애.
- 뇌간: 호흡, 심박 조절 장애.
3. 진단 방법
(1) 영상 검사
- MRI: 종양의 위치와 크기, 침습 여부 평가.
- CT: 신속한 검사로 뇌출혈 동반 여부 확인.
- fMRI: 종양이 기능적 뇌 영역에 미치는 영향 평가.
(2) 조직 검사
- 종양의 유형과 악성도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학적 검사.
(3) 분자 진단
-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MGMT 프로모터 메틸화, IDH 변이) 평가.
(4) 뇌척수액 검사
- 뇌와 척수를 포함한 종양의 확산 여부 확인.
4. 병리학적 기전
(1) 유전자 변이
- T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손실.
- IDH: 신경교종에서 흔히 발생.
- EGFR: 교모세포종에서 과발현.
(2) 세포 증식
- 세포 분열 조절 실패로 비정상적인 증식.
(3) 혈관 신생 (Angiogenesis)
- 종양이 성장에 필요한 혈관을 형성.
(4) 침습 및 전이
- 악성 종양은 뇌조직 깊숙이 침투하거나 신경계 외부로 확산.
5. 치료 방법
(1) 수술
- 종양을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목표.
- 양성 종양은 완전 절제가 가능하지만, 악성 종양은 제한적.
(2) 방사선 치료
- 잔여 종양세포 제거를 위해 사용.
- 최신 기술: 정위적 방사선 수술(감마나이프, 사이버나이프).
(3) 항암 화학요법
-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교모세포종에서 사용.
- 표적 치료: EGFR 억제제, VEGF 억제제.
(4) 면역 치료
- 면역체계를 강화하여 종양세포 제거.
- CAR-T 세포 치료, 백신 치료 연구 중.
(5) 대증 치료
- 두개내압 감소: 스테로이드(예: 덱사메타손).
- 발작 관리: 항경련제.
6. 예후
- 양성 종양은 치료 후 생존율이 높지만, 악성 종양의 경우 예후가 나쁨.
- 교모세포종의 평균 생존기간: 약 15~18개월(치료 시).
7. 예방 및 관리
- 유전적 검사: 가족력이 있는 경우 조기 검사 권장.
- 생활습관 관리:
- 흡연과 방사선 노출 회피.
-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 운동.
- 정기 검진: 초기 증상 발견이 중요.
결론
뇌종양은 복잡한 원인과 다양한 유형을 가진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개별화된 치료가 중요합니다. 악성 종양은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치료 성과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