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도 방실 차단 (Second-Degree AV Block)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1. 12. 18:04
728x90
반응형
SMALL

2도 방실 차단 (Second-Degree AV Block)

2도 방실 차단은 방실결절(AV Node)이나 그 아래의 히스-푸르키녜계(His-Purkinje System)에서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기 신호 전달이 일부 실패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전도에서 일부 P파가 QRS 복합파를 유발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이며, 2도 방실 차단은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뉩니다: 모비츠 1형(Mobitz Type I, Wenckebach)과 모비츠 2형(Mobitz Type II).


1. 2도 방실 차단의 분류

(1) 모비츠 1형 (Mobitz Type I, Wenckebach 차단)

특징:

  • 방실결절에서 전기 신호 전달 시간이 점진적으로 연장되다가 결국 P파가 QRS 복합파를 유발하지 못하게 됨.
  •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점점 길어지다가 QRS가 소실되는 패턴을 보임.
  • 규칙적인 패턴으로 반복됨.

원인:

  • 미주신경 과항진(특히 젊은 사람들, 운동선수).
  • 약물: 베타차단제, 칼슘채널 차단제, 디곡신.
  • 허혈성 심질환(특히 하벽 심근경색).
  • 심근염 또는 심장 수술 후.

증상:

  • 대부분 무증상.
  • 서맥이 동반될 경우 피로감, 어지럼증.

치료:

  • 무증상: 치료 불필요.
  • 증상: 원인 교정(약물 중단, 전해질 이상 교정).
  • 드물게, 일시적 또는 영구적 심박조율기가 필요할 수 있음.

(2) 모비츠 2형 (Mobitz Type II)

특징:

  • 방실결절 아래의 히스속 또는 푸르키녜계에서 전기 신호 전달이 간헐적으로 실패.
  • PR 간격이 일정하거나 정상 상태로 유지되지만, 갑자기 QRS 복합파가 소실됨.
  • 불규칙적인 신호 전달로 인해 심박수가 감소.

원인:

  • 구조적 심장 손상:
    • 허혈성 심질환(특히 전벽 심근경색).
    • 심근염.
    • 심장 수술 후.
  • 진행된 심근병증 또는 전도계 질환.

증상:

  •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서맥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남:
    • 피로.
    • 어지럼증.
    • 실신.
    • 심각한 경우, 심박출량 저하로 인한 심부전 증상.

치료:

  • 증상이 없어도 치료가 필요.
  • 대부분의 경우 영구 심박조율기(Pacemaker) 삽입이 권장됨.
  • 원인 교정: 심근경색 치료, 심근염 관리.

2. 고도 방실 차단 (High-Grade AV Block)

모비츠 2형과 유사한 형태로 일부 P파만 QRS를 유발하지만, 일정한 비율(예: 2:1 또는 3:1)이 지속됩니다.

특징:

  • 한 번의 QRS가 유발된 뒤 두 번 이상의 P파가 QRS를 유발하지 못함.
  • 규칙적이지만 서맥을 동반.

치료:

  • 즉각적인 심박조율기 삽입이 필요.

3. 진단

심전도(ECG)

  • 모비츠 1형: PR 간격이 점진적으로 길어지다가 QRS 복합파가 소실됨.
  • 모비츠 2형: PR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QRS 복합파가 갑자기 소실됨.

추가 검사

  • 홀터 모니터링: 간헐적인 차단 확인.
  • 전기생리학 검사: 전도계 이상 평가.
  • 심초음파: 구조적 심장 질환 확인.

4. 치료 및 관리

(1) 일반 관리

  • 무증상 모비츠 1형은 경과 관찰.
  • 약물이나 전해질 이상이 원인인 경우 이를 교정.

(2) 심박조율기 삽입

  • 모비츠 2형: 영구 심박조율기 필요.
  • 서맥이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삽입 고려.

(3) 응급 치료

  • 증상이 심하거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 아트로핀(Atropine) 투여.
    • 일시적 심박조율기 삽입.

5. 예후

  • 모비츠 1형: 대개 양호, 3도 방실 차단으로 진행할 가능성은 낮음.
  • 모비츠 2형: 예후가 더 나쁨. 치료하지 않으면 3도 방실 차단으로 진행 가능하며, 심정지 위험 증가.

6. 요약

2도 방실 차단은 모비츠 1형과 2형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기전과 예후를 가집니다. 모비츠 1형은 대개 양호하며 경과 관찰로 충분하지만, 모비츠 2형은 심각할 수 있어 조기 치료 및 심박조율기 삽입이 필요합니다. 심전도 분석을 통해 명확히 진단하고, 원인 및 증상에 따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