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심실조동 (Ventricular Flutter)
심실조동(Ventricular Flutter)은 심실의 전기적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져 발생하는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부정맥입니다. 심전도(EKG) 상에서 QRS와 T파가 구분되지 않고, 큰 진폭의 연속적이고 물결 모양의 파형으로 나타납니다. 이 상태는 혈류를 거의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심정지(cardiac arrest)와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으로 빠르게 진행할 위험이 있습니다.
1. 정의
- 심실에서 기원하는 매우 빠르고 규칙적인 심박수.
- 심박수: 250~350 bpm.
- 심전도(EKG) 상에서 QRS 복합파와 T파가 융합된 큰 진폭의 진동 파형이 관찰됨.
- 심실 조동은 일반적으로 심실세동(VF)으로 빠르게 악화하며,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2. 발생 기전
심실조동은 심실 내 전기적 신호의 재진입(reentry) 또는 이소성 전기 신호(ectopic foci)로 인해 발생합니다.
- 재진입(Reentry):
- 심근 경색이나 허혈 등으로 인해 심실 내 전기 신호가 병적 경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발생.
- 이소성 전기 신호(Ectopic Foci):
- 특정 심근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자율적 전기 신호를 생성.
- 전해질 이상:
- 칼륨(K)이나 마그네슘(Mg) 농도의 불균형이 심근 세포의 전기적 불안정성을 유발.
- 심장 구조적 변화:
- 심근 병증, 흉터 조직 형성 등 심장 구조의 이상이 전기적 신호 전달을 방해.
3. 원인
심실조동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장 관련 요인:
-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 심근병증(Cardiomyopathy).
- 심부전(Heart Failure).
- 전해질 불균형:
- 저칼륨혈증(Hypokalemia).
-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 약물 및 독성:
- 항부정맥제(예: 클래스 I 및 III).
- QT 간격 연장을 유발하는 약물.
- 기타 요인:
- 급성 허혈(관상동맥 경련 등).
- 심장 수술 후 합병증.
- 전기 충격(Electrical Shock).
4. 증상
심실조동은 심장의 펌프 기능을 급격히 저하시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 가벼운 초기 증상:
- 심계항진(Palpitations).
- 어지럼증(Lightheadedness).
- 중증 증상:
- 실신(Syncope).
- 저혈압(Hypotension).
- 흉통(Chest Pain).
- 호흡 곤란(Dyspnea).
- 심정지:
- 심실조동은 빠르게 심실세동으로 진행되며, 이는 심정지(cardiac arrest)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진단
(1) 심전도(EKG)
- 심실조동의 전형적인 심전도 소견:
- 규칙적이고 연속적인 큰 진폭의 진동형 파형.
- QRS 복합파와 T파가 구분되지 않음.
- 심박수: 250~350 bpm.
(2) 추가 검사
- 혈액 검사:
- 전해질 불균형 확인(칼륨, 마그네슘).
- 심근 효소(Troponin, CK-MB) 측정.
-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장의 구조적 이상 확인.
-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 급성 허혈의 원인 확인.
6. 치료
(1) 응급 치료
- 심폐소생술(CPR):
-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CPR 시행.
- 전기적 제세동(Defibrillation):
- 심실조동은 전기적 제세동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 신속한 전기 충격으로 정상 리듬 복구.
- 약물 치료:
- 아미오다론(Amiodarone).
- 리도카인(Lidocaine).
(2) 원인 교정
- 전해질 교정:
- 저칼륨혈증 및 저마그네슘혈증 치료.
- 급성 허혈 치료:
- 관상동맥 재개통술(PCI).
- 관상동맥 우회술(CABG).
(3) 장기적 예방
- 삽입형 제세동기(ICD):
- 심실조동의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삽입.
- 약물 요법:
- 베타 차단제(Beta Blockers).
- 항부정맥제.
- 생활 습관 관리:
- 금연, 금주.
- 규칙적인 운동과 저염식 식단.
7. 합병증
-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심실조동이 치료되지 않을 경우 심실세동으로 진행.
- 심정지(Cardiac Arrest): 혈류가 중단되어 전신 순환 장애.
- 저혈압성 쇼크(Hypotensive Shock):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순환 장애.
8. 예후
- 심실조동은 치료가 지연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응급 처치와 ICD 삽입으로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기저 심장 질환의 중증도와 치료 여부에 따라 예후가 달라집니다.
9. 결론
심실조동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매우 빠르고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응급 전기적 제세동과 적절한 약물 치료를 통해 정상 리듬을 복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ICD 삽입 및 기저 질환 관리를 시행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