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급성 중이염 (Acute Otitis Media, AOM)
급성 중이염은 중이에 염증과 감염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어린이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감염은 주로 바이러스 또는 세균으로 인해 발생하며, 고막의 통증, 발열, 그리고 청력 감소가 주요 증상입니다. 치료는 주로 감염원에 따라 적절한 약물 치료와 증상 관리로 이루어집니다.
1. 원인
(1) 감염 경로
-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의 문제:
- 유스타키오관이 막히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중이에 체액이 고이고 감염이 발생.
- 어린이에게 더 흔한 이유는 유스타키오관이 짧고 수평적이기 때문.
(2) 병원체
- 세균:
- Streptococcus pneumoniae: 가장 흔한 원인.
- Haemophilus influenzae.
- Moraxella catarrhalis.
- 바이러스: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Rhinovirus, Adenovirus, Influenza Virus.
(3) 유발 요인
- 감기, 상기도 감염.
- 알레르기.
- 수유 시 눕힌 자세.
- 흡연(간접 흡연 포함).
- 면역 저하 상태.
2. 위험 요인
- 나이: 6개월에서 2세 사이의 어린이.
- 집단 생활: 유치원 또는 보육시설에 다니는 어린이.
- 계절적 요인: 겨울철 및 호흡기 감염이 유행하는 시기.
- 유전적 요인: 가족력.
- 모유 수유 부족: 모유 대신 분유를 사용할 경우 더 흔히 발생.
3. 증상
(1) 일반적인 증상
- 귀 통증(Otalgia):
- 특히 어린이는 귀를 잡아당기거나 만지는 행동을 보임.
- 통증이 심한 경우 울거나 보채는 행동.
- 발열:
- 38~40°C 정도의 열이 동반될 수 있음.
- 청력 감소:
- 중이에 체액이 고여서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음.
- 귀 분비물(Otorrhea):
- 고막이 천공되면 고름이 귀에서 나옴.
(2) 기타 증상
- 짜증, 식욕 감퇴, 수면 장애.
- 균형 문제(심한 경우).
4. 진단
(1) 병력 청취
- 상기도 감염, 감기, 알레르기 병력 확인.
- 귀 통증 및 발열 여부 확인.
(2) 이경 검사(Otoscopy)
- 고막 관찰:
- 발적(Erythema).
- 팽창(Bulging).
- 고막 움직임 감소.
- 경우에 따라 고름 또는 체액 확인.
(3) 고막 천공 시
- 고름 배양 검사로 병원균 확인 가능.
5. 치료
(1) 일반적인 치료
- 증상 완화:
- 진통제: 이부프로펜 또는 아세트아미노펜.
- 국소 온열 요법(통증 완화).
- 항생제 사용:
- 1차 항생제: Amoxicillin.
- 내성 또는 재발: Amoxicillin-Clavulanate (Augmentin).
- 고막 천공이 있는 경우:
- 항생제 점이제 사용 가능.
(2) 항생제 사용 기준
- 6개월 미만: 대부분 항생제 사용.
- 6개월~2세:
- 중등도 이상의 증상(발열, 통증)이 있으면 항생제 사용.
- 경미한 경우 관찰 후 결정.
- 2세 이상:
-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관찰 후 항생제 결정.
(3) 관찰 요법
- 항생제 없이 48~72시간 동안 증상을 모니터링.
-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면 항생제 투여 시작.
6. 합병증
(1) 중이 내 합병증
-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 고막 천공.
(2) 인접 조직 합병증
- 유양돌기염(Mastoiditis): 중이 뒤쪽의 유양돌기에 감염.
- 내이염(Labyrinthitis): 내이로 감염 확산.
(3) 심각한 합병증
- 뇌수막염(Meningitis).
- 뇌농양(Brain Abscess).
7. 예방
(1) 감염 예방
- 정기적인 손 씻기.
- 예방 접종:
- 폐렴구균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2) 생활습관
- 수유 시 머리를 세운 자세로.
- 간접 흡연 노출 피하기.
(3) 기타 예방 조치
- 어린이의 장난감 및 기구 소독.
- 감기나 상기도 감염 관리.
8. 요약
급성 중이염은 주로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 발열, 청력 감소를 특징으로 합니다. 진단은 이경 검사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증상 관리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재발 방지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적절한 생활습관과 예방 접종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