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아량드롱드룡드룡 2025. 6. 19. 07:15
728x90
반응형
SMALL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은 당뇨병의 가장 흔한 만성 합병증 중 하나로,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서 말초 및 자율신경계에 손상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약 50% 이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신경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병태생리(Pathophysiology)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주로 다음과 같은 병리적 기전의 복합 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1. 고혈당 유발 대사이상:
    • 소르비톨 축적(polyol pathway): 글루코오스가 알도오스 환원효소에 의해 소르비톨로 전환 → 세포 내 삼투압 변화, 산화 스트레스 증가.
    •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축적 → 신경 내 단백질 구조 손상 및 혈관 손상.
  2. 산화 스트레스 증가:
    • 고혈당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과 활성산소(ROS) 증가.
  3. 신경혈관장벽 손상:
    • 미세혈관의 허혈과 염증 → 신경 내 혈류 공급 감소.
  4. 염증 반응 및 자가면역 기전:
    •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면역세포 활성화 → 신경 축삭 및 수초 손상.

분류(Classification)

  1. 말초신경병증 (Peripheral Neuropathy)
    • 대칭성 다발성 신경병증 (Symmetric Polyneuropathy): 가장 흔한 형태, 손과 발의 "글러브-삭(glove and stocking)" 분포 감각 이상.
    • 단일신경병증 (Mononeuropathy): 안면신경, 요골신경, 대퇴신경 등 특정 신경의 기능 저하.
    • 신경총병증 (Plexopathy): 주로 대퇴 신경총, 상완 신경총 침범.
  2. 자율신경병증 (Autonomic Neuropathy)
    • 심혈관계: 기립성 저혈압, 심박수 변동성 감소
    • 위장관계: 위정체증(gastroparesis), 변비/설사
    • 비뇨생식기계: 발기부전, 방광 배뇨장애
    • 발한 이상, 저혈당 인지능 저하
  3. 치료성 신경병증 (Treatment-induced Neuropathy):
    • 급격한 혈당 조절 시 발생할 수 있는 반동성 통증성 신경병증.

증상(Symptoms)

  • 감각 이상: 저리거나 찌릿한 느낌, 통증, 감각 감소
  • 운동 이상: 근력 저하, 위축
  • 자율신경 증상: 소화불량, 기립성 저혈압, 발기부전, 야간 설사
  • 증상은 야간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음

진단(Diagnosis)

  1.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 진동감각, 압통, 통각, 온도감각 검사
    • 족부 피부, 족저 궤양 여부 평가
  2. 신경전도검사(NCS, EMG)
    • 신경 전도 속도 저하 및 지연 확인
  3. 자율신경기능검사
    • 기립성 혈압 변화, 발한 검사, 심박수 반응 평가
  4. 배제진단
    • B12 결핍, 알코올성 신경병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 유사 질환 감별 필요

치료(Treatment)

1. 원인 조절

  • 철저한 혈당 조절: HbA1c < 7% 유지
  • 혈압, 지질, 체중 등 대사성 인자 관리

2. 통증 조절

  • 1차 약물:
    • TCA (Amitriptyline, Nortriptyline)
    • SNRI (Duloxetine)
    • 항경련제 (Pregabalin, Gabapentin)
  • 2차 약물:
    • Tramadol, Capsaicin 연고, 국소 리도카인 패치 등

3. 자율신경병증 치료

  • 위정체증: prokinetics (metoclopramide)
  • 발기부전: PDE5 억제제 (sildenafil)
  • 기립성 저혈압: 수분 보충, 미도드린

4. 예방 및 생활관리

  • 발 관리 철저: 발톱 손질, 매일 발 확인, 정기적 족부 검사
  • 운동 및 균형 유지, 금연 및 금주

예후(Prognosis)

  • 신경병증은 진행성 질환이며 완전한 회복은 어려운 경우가 많음.
  • 조기 발견 및 적극적인 혈당 조절로 증상 악화 방지 가능.
  • 특히 족부 궤양 및 절단 위험이 높아, 발 관리가 중요함.
728x90
반응형
LIST